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9일 기준금리를 내린 것은 시장의 일반적인 예상을 깬 전격적인 결정으로 평가된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0.25% 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금융시장은 이번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고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의 출현 가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였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채권시장 전문가 2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79.4%가 동결을 예상했다.

그런데도 금통위가 과감하게 기준금리를 내린 것은 경기 부진에 선제로 대응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한국 경제의 최대 이슈로 부상한 기업 구조조정의 후폭풍을 염두에 둔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기업 구조조정 작업이 속도를 내면 대량실업 등 경제에 미칠 충격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정부가 8일 발표한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계획'에 따르면 조선사들은 자구계획으로 2018년까지 고용 규모를 30%, 설비 규모를 20% 각각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구조조정은 안 그래도 활력을 잃고 있는 한국 경제의 하강을 부채질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업 투자가 생산 및 고용 증대로 이어지고 가계 소비가 증가하는 경제의 선순환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은행 국민소득 통계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내총투자율은 작년 4분기(28.7%)에서 1.3% 포인트 떨어진 27.4%로 집계돼 2009년 2분기(26.7%)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총저축률은 36.2%로 전 분기보다 1.8% 포인트 상승했다.

경기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가계는 지갑을 닫고 기업은 투자를 꺼리는 현상이 심화한 것이다.

여기에 한은 금통위는 최근 대외적 여건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에 적합하다고 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미국의 5월 고용 지표가 나쁘게 나오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이 이달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어려워졌다는 게 중론이다.

지난 3일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비농업 부문에서 새로 늘어난 일자리가 3만8000개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한국이 기준금리를 내리고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내외 금리차 축소로 국내에서 외국인 자금이 급속히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이 약화됨에 따라 한은 통화정책도 운신의 폭이 커진 셈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