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철강 공급과잉으로 각국 철강업체의 채산성이 급격히 악화한 가운데 일본 2위 JFE스틸이 분산된 생산거점의 시스템을 통합해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JFE스틸은 2020년까지 700억엔(약 7천584억원)을 들여 일본 내에 흩어져 있는 모든 생산거점의 운영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할 예정이다.

세계 철강시장의 장래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수급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려는 시도이다.

납기 단축이나 품질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모든 상품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율화도 함께 추진한다.

JFE스틸의 이번 시스템 쇄신은 2003년 NKK와 가와사키제철이 통합해 발족한 이후 최대 규모로, 모든 설비를 데이터베이스로 연결해 가상적으로 1개의 제철소로 간주해 운영하게 된다.

통합 대상은 동일본제철소의 지바시, 가와사키시 공장, 서일본제철소의 구라시키시(오카야마현), 후쿠야마시(히로시마현) 공장 등 4개 제철소와 아이치현 한다시의 지다제조소까지 모두 5개 거점이다.

지금까지는 5개의 거점에서 생산 등의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개발했다.

JFE는 각 거점별로 용어나 업무 순서도 달라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이번에 시스템 통합을 서두르게 됐다.

수주나 생산에서 생기는 데이터를 일원화해 '연결된 제철소'를 지향한다.

예를 들면 후쿠야마공장의 설비 고장 조짐을 본사나 다른 공장 설비 기술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IoT의 기술을 활용하게 되면 특정 제철소에서 실현한 공정 개량의 성과를 곧 다른 제철소에서도 도입, 품목에 따라서는 생산 비용을 최대 10% 줄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기대한다.

수급변동에 즉각 대응하는 생산체제도 구축한다.

영업담당자가 어느 거점에서, 어느 제품을, 몇 시까지 생산할 수 있을지를 그 자리에서 파악할 수 있어 납기를 최대 30% 단축할 수 있다
철강업체들은 1980년대부터 생산설비에 많은 센서를 부착해 분석하고, 품질이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데이터를 활용해 왔다.

다만 데이터처리나 통신기술 한계로 거점 간의 제휴는 할 수 없었다.

제철소는 1곳의 매출이 수천억엔(약 수조원) 규모도 있어 독립 기업과 같은 운영이 계속돼 왔다.

이에 JFE는 첨단기술로 거대한 제철소 시스템을 일원화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노리는 것이다.

철강업계의 이런 움직임은 대규모 설비를 갖고 있는 자동차나 화학 업계 등의 다른 제조업계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tae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