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2018년 석탄화력발전소인 호남 1·2호기와 영동 1호기의 가동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세먼지를 줄이는 동시에 국제사회에 공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40년 넘은 석탄발전소 '호남 1·2호기, 영동 1호기' 가동 중단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일 “40년 이상 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친환경 연료로 교체하는 방안에 대해 부처 간 합의가 끝났다”며 “세부적인 문구 조정만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폐쇄 여부 기준은 발전소 인근 지역의 전력 수요다. 산업부 관계자는 “노후 발전소를 폐쇄해도 인근 지역 전력 수급에 영향이 없으면 폐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지역 전력 수급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노후 발전소를 액화천연가스(LNG)나 바이오매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내 화력발전소 53기 중 완공된 지 40년이 넘은 발전소는 호남 1·2호기(1973년 완공)와 영동 1호기(1973년)뿐이다. 30년 이상 된 노후 발전소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다는 등 성능 개선에 주력하기로 했다. 국내 화력발전소 중 30년 이상 된 발전소는 삼천포 1·2호기, 보령 1·2호기, 서천 1·2호기, 여수 2호기 등 총 11기다. 이 중 1978년 완공된 서천 1·2호기는 지난해 7차전력수급기본계획을 세울 때 폐쇄하기로 했다.

정부가 노후 발전소 폐쇄 방침을 정하자 발전회사들은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특히 호남 1·2호기는 전남 여수산업단지에 전력을 대고 있는 만큼 폐쇄 결정 시 인근 지역의 반발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 발전소 관계자는 “여수산업단지는 전력 수요 대비 지역 내 자체 공급능력이 부족한 데다 송전망까지 포화돼 전국에서 전력계통이 가장 불안한 지역 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부담을 한꺼번에 줄이겠다는 목표다. 한국 정부는 올초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파리협정에 제출했다. 석탄화력발전소는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꼽혀왔다. 산업부 관계자는 “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를 직접 배출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로 바뀔 수 있는 유해 가스도 다량 배출한다”며 “이번 대책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성미/이태훈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