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수출 410억달러 전년比 11.2%↓…16개월 연속 수출 감소로 역대 최장
"조업일수 감소·제품 단가하락 영향"…일평균 수출액은 5개월만에 최고치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던 우리나라 수출 기상도가 4월 들어 다시 나빠졌다.

국제경기 상황이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조업일수 축소, 선박인도 지연 등의 변수가 생기면서 수출 감소율이 다시 두 자릿수로 확대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 수출액이 410억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2%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지난 3월 4개월 만에 한 자릿수 감소 폭을 기록했던 수출은 다시 두 자릿수로 확대됐다.

지난 1월 6년 5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인 -19.0%를 기록한 뒤 2월 -13.0%, 3월 -8.1%로 감소 폭을 줄여가던 수출이 다시 악화하는 모양새다.

월간 기준 최장기간 수출 감소 기록도 16개월로 늘어났다.

이전 최장 기록은 2001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의 13개월이었다.

산업부는 "세계 경기부진, 저유가, 단가하락 등 부정적 요인이 지속하는 가운데 4월 조업일수가 전년보다 1.5일 줄어들어 감소율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조업일수 변화는 총수출에서 6.2%포인트가량 감소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제품·석유화학·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 등 단가하락 품목은 4.5%포인트가량 전체 수출액을 끌어내렸다.

여기에 4월 통관 예정이던 선박 5척의 인도가 지연되면서 3%포인트가량 추가 감소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조업일수 등의 일시적 요인을 뺀 일평균 수출액은 18억2천만달러로 5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여러 요인을 고려하면 4월 수출 동향이 크게 나빠진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수입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9% 줄어든 322억달러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수출·수입액은 작년 1월부터 16개월 연속으로 동반 감소했다.

무역수지 흑자는 88억달러로 2012년 2월 이후 51개월째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4월 수출 물량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3월 -1.9%였지만 4월에는 5.5% 플러스성장을 보였다.

품목별 수출액 동향을 살펴보면 선박 분야가 5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점이 두드러진다.

해양플랜트 2척을 포함, 총 32척을 수출해 25.2% 증가했다.

다만 선주 측 요청 등으로 선박 5척의 인도 시기가 5월로 지연됨에 따라 더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못했다.

선박 분야는 지난해 12월 -32.6%를 시작으로 지난 3월 -28.8%까지 넉 달간 큰 폭의 하락세를 이어왔다.

무선통신기기 분야도 3.2% 증가하면서 호조세를 유지했다.

G5, 갤럭시 S7 등 신제품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드러냈다.

하지만 다른 주력 품목 대부분은 작년보다 하락했다.

유가 영향 품목인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은 저유가가 지속하면서 각각 10.8%, 14.5% 감소했다.

반도체(-11.5%)와 평판디스플레이(-26.3%) 등은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이 지속하면서 감소세가 이어졌다.

자동차(-18.3%)는 신흥국 경기침체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차 부품(-15.4%)은 중국 완성차 판매 부진으로 대중국 수출이 감소했다.

가전(-25.7%), 섬유류(-10.3%), 일반기계(-15.6%) 등도 하락했다.

신규 유망 품목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화장품이 각각 26.4%와 34.4%가 증가하며 꾸준히 좋은 실적을 올렸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는 전년도 기저효과 때문에 37.5%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베트남과 아세안으로의 수출이 각각 12.7%와 7.1%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은 18.4%나 줄었다.

중국 정부가 내수 시장 중심으로 성장 전략을 바꾸고 있어 현지 수입 감소세가 지속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對)미국 수출도 현지 제조업 생산부진과 소비 지출 둔화 등으로 6.6% 줄었고, 중동과 중남미 수출도 각각 -27.6%와 -39.7% 감소했다.

일본 수출도 -25.5%를 기록했다.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은 각각 -22.6%, -3.9%를 기록했고 소비재 수입은 2.2% 늘었다.

산업부는 "글로벌 경기 부진, 저유가 기조 지속, 월초 연휴 효과 등으로 5월 수출여건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는 수출 활력을 조기에 회복하기 위해 정상외교 활용, 각종 쇼핑 축제 개최 등 장·단기 수출지원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coo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