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업 울산현대중공업 지침 주시 속 "결단 감수하겠다"
해남 대한조선 법정관리 졸업 1년도 안 돼 '복병'


업황 부진에 따른 조선업계의 구조조정이 도마에 오르면서 전남 조선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영암에 있는 세계 굴지의 조선소 현대삼호중공업도 좌불안석 상황이다.

현대삼호중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적게는 500억에서 최고 3천억원대의 적자가 났지만 올해들어 1·4분기 200억원의 흑자를 냈다.

그러나 '거제발' 조선업계 비상이 발생하면서 흑자가 무색할 상황으로 사내 분위기가 꽁꽁 얼어붙었다.

현대삼호중은 앞서 지난해 9월 이미 어처구니없는 문제로 한 차례 큰 경영위기를 겪은 전력이 있다.

당시 노르웨이의 유전개발업체 시드릴은 현대삼호중과 맺은 6천200억원짜리 심해 반잠수식 해저유전 시추선의 계약을 취소했다.

계약 취소는 납기일을 지키지 못한 때문으로 결국 6천억원이 넘는 시추선은 선수금 1천760억원만 받고 현재 조선소 안벽에 계류돼 새 주인을 하염없기 기다리고 있다.

특히 계약 취소 이후 시추선 시운전 과정에서 200억원짜리 시추봉을 바다에서 분실하는 사고까지 내면서 회사에 대한 비판이 가중되기도 했다.

현대삼호중은 최근 척당 500억~600억원이 넘는 벌크캐리어 2척의 건조가 마무리 단계지만 해외 발주자가 인도를 기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고민이 크다.

현대삼호중은 올해분 40척, 내년분 30척 등 2년치 수주량은 확보했지만 현재 업계 상황으로 미뤄 더 이상 수주물량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경영합리화를 위한 결단'도 감수한다는 분위기다.

현대삼호중의 한 관계자는 "모기업인 울산현대중공업의 지침에 따르겠지만 현재 회사의 분위기는 경영합리화를 위해서라면 구조조정 등 모든 수단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불황으로 협력사가 어려움에 처하면 고용안정지역으로 포함하는 등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현대삼호중 현장에서는 자사 임직원 4천300명과 사내 협력사 70여개사 9천여명 등 총 1만3천300여명이 일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삼호중 인근 대불산단에 소재한 50여개의 사외협력사들은 현대삼호중의 내년 수주물량이 올해보다 10척이 감소할 경우 도산이 속출할 것이라며 크게 우려하고 있다.

사외협력사 대표 A씨는 "수주량이 40척일 경우 일감이 사외협력사들에게까지 돌아오지만 30척이면 사내협력사 선에서 일감이 소진, 사실상 사외협력사들은 일이 없게된다"며 "현대삼호중이 큰 틀의 지역경제 차원에서 문제를 풀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해남에 있는 대한조선도 고민이 크기는 마찬가지다.

자시 임직원 750명, 40여개 협력사 직원 3천명 등 3천7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법정관리를 졸업, 독자경영을 시작했지만 채 1년도 안돼 터진 조선업 비상상황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작년까지 428억 적자에서 올해를 흑자원년으로 삼고 의욕적으로 경영을 하던 차여서 부담감이 더욱 크다.

내년까지 수주 물량은 확보했지만 2017년 이후 물량은 전혀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대한조선의 한 관계자는 "수십만t 이상 규모의 플랜트나 엘엔지선 등을 건조하는 빅3와는 달리 11만t에서 18만t급의 벌크선이나 유조선 등을 건조하는 중소형 조선소로 경쟁 상대나 상황이 다르기는 하지만 경기가 어렵기는 매 한가지"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어렵게 법정관리를 졸업했는데 더 이상 좌절해선 안돠는 상황"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삼고자 최선을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역 조선업계에서는 이번 조선업 비상상황에 대해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며 전반적 조선업계 불황도 있지만 빅3 조선사 자체의 책임도 없지 않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26일 "빅 3가 경쟁적으로 수십척의 석유시추선을 수주하면서 인력도 대규모로 채용했다가 수주 물량이 소진되고 추가 수주를 하지 못하면서 이들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 필요성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며 "조선사들의 주먹구구식 인력운영 계획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목포연합뉴스) 박성우 기자 3pedcro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