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보다 가구원 수 많을수록 저물가 수혜
40대는 교육비, 60대는 주류·담배 물가에 민감

최근 저물가 현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소득이 높을수록 저물가 혜택을 더 누리고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혜택에서 소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저물가의 가계 특성별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에 불과했다.

그러나 소득별로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에 맞게 가중치를 조정하면 소득이 적은 1분위의 물가 상승률은 1.1%였지만, 소득이 많은 5분위는 0.4%였다.

2분위와 3분위는 0.9%, 4분위는 0.7%였다.

고소득층일수록 느끼는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셈이다.

이처럼 소득계층별로 물가가 다른 것은 소득이나 가구, 연령에 따라 소비 품목이 다르기 때문이다.

1분위 가구는 식료품과 주거, 보건, 통신 부문 지출 비중이 크고, 교육, 교통 지출 비중은 작았다.

반면 5분위 가구는 교통과 오락·문화, 교육 지출 비중이 컸고,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 지출 비중은 작았다.

이 때문에 주류·담배 물가 상승이 1분위의 물가는 0.8%포인트 올렸지만, 5분위는 0.4%포인트만 올리는 영향을 줬다.

식료품도 물가상승률 기여도가 1분위는 0.3%포인트였지만 5분위는 0.2%포인트뿐이었다.

반대로 저유가의 영향으로 교통 관련 물가는 크게 떨어졌는데, 이 혜택을 1분위는 -0.6%포인트만 누렸지만, 교통 분야 지출 비중이 큰 5분위는 -1.0%포인트의 혜택을 봤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4년 동안 추이를 봐도 1분위 계층의 물가상승률이 5분위보다 높았고, 차이도 갈수록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가구 구성원으로 비교하면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저물가의 혜택을 크게 받았고, 1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지난해 가구원 수별 물가상승률을 추정하면 1인 가구는 0.9%였지만, 2~4인 가구는 0.7%, 5인 이상 가구는 0.6%였다.

가구원 수가 적은 가구는 주류·담배 물가에,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는 교육 물가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39세 이하는 교통, 주거, 오락문화의 물가에 민감했고, 40대는 교육, 50대는 음식, 숙박, 통신, 60대 이상 고령 가구는 식료품과 주거, 보건 물가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처럼 가구 상황마다 물가상승률의 체감 정도가 달라서 보고서는 저물가 혜택이 적었던 저소득층과 1인 가구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 선임연구원은 "저소득층과 1인 가구, 고령 가구는 식료품 물가에 민감하다"며 "농산물 계약재배 물량 확대, 대규모 출하시설 건설 등 가격 안정성을 높이고 유통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교육비 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중년 및 다인 가구를 위해 사교육비 책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식 물가와 체감 물가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비자물가지수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의래 기자 laecor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