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웨이궈 회장 블룸버그 인터뷰

칭화유니그룹이 중국의 첫 '반도체 거인'으로 우뚝 서기 위해 300억 달러(약 35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이 회사가 삼성전자 같은 외국의 거대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 지방정부와 사모펀드 등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라고 24일 보도했다.

자오웨이궈(趙偉國) 칭화유니그룹 회장은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점점 커지는 메모리칩 시장에서 자사가 2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칩은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러지 등이 주도하는 분야다.

비상장사인 유니그룹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모바일과 반도체 등에 이르는 사업을 하고 있다.

자오 회장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약 21억 달러, 이익은 2억 달러였다.

자오 회장은 우선 올해 말까지 최대 150억 달러를 모아 기업 인수와 생산능력 확대에 투자할 계획이다.

컨설팅회사 IC와이즈의 구웬준은 "메모리는 투자금은 막대한데 이익 회수는 느리고 위험은 커 어려운 사업"이라면서 "유니그룹이 협력 파트너와 기술 원천을 찾기 전까지는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오 회장은 프로세서 칩 같은 시장에 진입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칭화유니는 최근 몇년 사이 RDA와 스프레드트럼 같은 반도체 회사를 인수했다.

하지만 마이크론을 230억 달러에 사려던 꿈은 무산됐다.

웨스턴디지털에도 38억 달러를 투자하려 했지만 미국 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할까봐 지난달 계획을 포기했다.

대만의 3개 반도체회사에 대한 투자 계획도 대만 여론의 반대에 부딪혔다.

자오 회장은 하지만 휴렛팩커드(HP)의 중국 네트워크·서버 회사 H3C를 인수하는 계획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고 말했다.

HP는 매각 대금으로 20억 달러를 기대하고 있다.

칭화유니는 이 같은 기업 인수와 함께 중국에 메모리 공장 1개를 건설하고 필요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현재로서는 제조에 앞서 모바일폰과 스마트카드에 필요한 칩 설계에 집중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 등이 나온 명문 칭화대는 나중에 유니그룹이 되는 회사를 1988년 설립했다.

2010년 민영화 때 자오 회장이 지배하는 회사가 칭화대에 이어 유니그룹의 2번째 큰 주주가 됐다.

자오 회장은 "우리를 국유기업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오해"라면서 "진짜 국유기업은 정부에서 많은 지원을 받지만 우리는 시장에서 전적으로 스스로 돈을 번다"고 말했다.

올해 49세인 그는 신장 지역의 돼지와 양을 키우던 농가에서 자랐다.

TV를 고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짜면서 칭화대 학비를 벌었고 지금은 억만장자가 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kimy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