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청년실업률 9.2% 최고치…올해 '졸업시즌'엔 더 높아질듯

20∼30대 가구의 연간 가계소득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것은 청년실업 문제가 경제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계 소득 감소는 '소비 감소→경제성장률 하락→기업투자 감소→고용 감소'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청년실업 문제는 4·13 총선을 앞둔 정치권에도 난제로 떠올랐다.

8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취업난 속에 연애와 결혼은 물론 인간관계까지 포기한다는 청년 '엔(N)포세대'의 아픔은 작년부터 계속해서 갖가지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33만7천명 늘었지만, 이는 청년층보다는 50대 이상 장년층이 이끈 증가세였다.

50대 취업자가 14만9천명, 60세 이상은 17만2천명 늘어나는 동안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6만8천명 증가에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3만8천명 감소했다.

청년과 나머지 연령대 고용 상황의 괴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청년(15∼29세) 실업률은 2013년 8.0%, 2014년 9.0%에 이어 지난해 9.2%로, 1999년 통계 기준이 변경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월 청년 실업률은 9.5%로 더 높아졌다.

졸업 시즌인 2월 실업률은 월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 '취업 준비'를 이유로 구직 활동을 시작하지 않아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된 인원수도 올해 1월 60만9천명에 이른다.

1년 새 4만5천명(8%) 증가했다.

취업 전까지 대학 졸업을 미루고 있는 대학생 등까지 실업자로 잡는다면 청년 체감실업률은 10%를 훌쩍 넘어설 수 있다.

청년취업난은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이에 따라 기업이 대졸 직원을 새로 뽑기를 꺼리면서 심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층이 어렵게 직장을 잡았다고 해도 일자리의 질은 과거보다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첫 직장을 잡은 청년층 400만명 가운데 20.3%(81만2천명)가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은 1년 이하의 '미생(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것이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신규 채용 청년층 가운데 비정규직 비율은 2008년 54%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8월 64%로 10%포인트가 높아졌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지난 7일 발간한 '경제동향'에서 "청년 고용 상황이 악화되면 교육·구직의 의사가 없는 '니트(NEET)족'이 늘어난다"며 "이는 경제활동인구 감소, 청년층의 직장 경력이 부족해지는 데 따른 인적자본 손실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정부는 '청년취업난 해소'를 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두고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한남대 대학창조일자리센터를 찾아 "하나의 일자리라도 더 만들기 위해 규제개혁, 제도개선, 예산·세제·금융 지원 등 정부가 가진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장 다음 달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도 청년실업 관련 공약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청년들에게 최장 6개월간 월 50만원의 구직급여를 주되, 취업 후 갚게 하자는 제안을 내놨고 더불어민주당은 여성·청년 고용의무할당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청년고용 문제 해소를 위한 노동개혁법안 통과를 강조하고 있다.

청년실업이 20대 총선을 앞둔 각 정치 세력 앞에 던져진 중요한 의제가 된 셈이다.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cho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