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중앙은행 총재들은 이번 주 상하이에서 환율전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 경기를 부양할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24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재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당국자들이 환율전쟁을 촉발하지 않기 위해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을 조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 G20 당국자들은 "경쟁적인 통화절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합의를 그대로 반복할 것으로 예상하나 중국의 경기 둔화로 위안화의 추가 절하 위험이 커지고 있어 해당 합의는 어느 때보다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갑작스러운 위안화 절하, 유로존과 일본 중앙은행의 마이너스금리 도입 등으로 어느 때보다 환율전쟁 위험은 커진 상태다.

작년 8월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갑작스럽게 절하시킨 이후, 국제통화기금(IMF) 등 전 세계 경제 당국자들은 중국이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이라도 하듯 최근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장은 위안화가 추가 하락할 근거가 없다며 위안화 절하 압력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완화했다.

그러나 G20 회원국들이 공조에 나서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폴 쉬어드 수석 글로벌 연구원은 "중앙은행들이 공조하는 것처럼 보일 때도 실제 그들은 자신들이 해야 하는 것을 하는 식이었다"라며 이번 회의에서도 "약한 공조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신이 금리를 내리지 않는다면 나도 인하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며, 그렇게 하기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중국, 일본, 유로존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하고 있지만, 남미의 원자재 국가인 멕시코, 콜롬비아, 페루 등은 이달 모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 다른 행보를 보여왔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그동안 재정정책을 좀 더 강화할 것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블룸버그는 재정정책을 강화하는 것도 말처럼 쉽지만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부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미국은 작년 말 2년간의 재정지출을 확정했으며, 독일은 이민자 비용 부담 증가로 올해 균형재정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스탠더드 은행의 스티븐 버로우 주요 10개국(G10) 전략 부장은 "전 세계는 구조개혁과 함께 재정정책 중심의 수요 진작책을 재가동할 필요가 있다"라며 재정지출이 줄면서 "금융시장이 위험이 빠지고, 통화정책은 과도한 부담을 떠안게 됐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영숙 기자 ys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