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급감 때 6개월 내 변동환율제 채택 가능성

위안화 가치가 올해 말까지 달러당 7.5위안까지 급락하면 중국에 직접 투자하는 모든 자산을 매도하라는 조언이 나왔다.

10일 소시에테제네랄(SG)의 자산전략보고서에 따르면 위안화 가치가 올해 말 달러당 7.5위안까지 하락하면 "위안화가 새로운 균형점에 도달할 때까지 MSCI 신흥국지수 등 간접적인 투자를 제외하고 중국 자산에 대한 비중을 제로(0)로 가져가라"고 조언했다.

SG는 기본적으로 올해 말까지 위안화 가치가 현 수준인 달러당 6.50위안대에서 달러당 6.80위안까지 "점진적이며 통제된 방식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SG는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7.50위안까지 예상보다 빠르게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7.50위안은 위안화 가치가 현 수준보다 14% 가량 낮은 수준으로 SG는 현재 위안화가 이 수준까지 떨어질 가능성을 35%로 예상하고 있다.

SG는 인민은행이 위안화 가치를 절하시킬 의도가 없다고 주장할 수 있으나 자본유출이 위안화 절하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즉, 당국의 의도와 달리 자본유출이 현재의 속도를 유지하면 인민은행이 앞으로 두서너 분기 이상 더 위안화를 방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지난달에도 995억 달러 가량 줄어 1월말 현재 3조 2천3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12월 역대 최대 월간 유출액인 1천79억 달러보다는 작은 규모이지만 여전히 빠른 속도로 줄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이미 2014년 중순 4조 달러에 육박하던 규모에서 7천624억 달러가 감소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장 밍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등이 사용하는 기준을 적용하면 중국은 파괴적인 자본유출을 방어하려면 2조 1천300억 달러~4조 2천600억 달러가량의 외환보유액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SG는 IMF의 적정 외환보유액 기준을 적용하면 외환위기 발생 시 필요한 외환보유액 수준을 2조 7천500억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앨버트 애드워즈 SG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외환보유액이 2조 8천억 달러에 도달하게 되면 IMF의 적정 권고수준 하단을 밑돌게 될 것"이라며 "이것이 앞으로 몇 달 내 일어나면 투기적 매도세가 썰물처럼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인민은행이 결국 손을 들면서 시장에 환율을 맡기는 변동환율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SG의 웨이 야오 중국 이코노미스트도 중국은 처음에는 외환 개입을 통해 위안화의 절하를 막겠지만, 외환보유액이 두 분기 동안 매달 1천500억 달러 이상 감소하고 자본 통제에도 실패하면 중국은 6개월 내에 변동환율제를 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위안화는 7.50위안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SG는 위안화가 7.50위안까지 하락하는 것만으로는 전면적 금융위기가 오지는 않는다며, 원자재 가격의 추가 하락에 따른 신흥국 통화의 추가 약세가 대규모 기업 디폴트(채무불이행)로 이어지고, 이것이 투자등급 회사채 시장까지 타격을 미칠 경우 전면적인 금융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우 전 세계 성장률은 0.5~1.5% 포인트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각국 중앙은행들이 이 상황을 대처하고자 "플라자 합의와 같은 형태의 합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SG는 말했다.

플라자합의는 1985년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재무장관들이 달러 강세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엔화와 마르크화 가치를 달러화에 대해 크게 절상시킨 합의를 말한다.

SG는 위안화가 달러당 7.50위안까지 현 수준에서 14% 가량 떨어지면 신흥국 통화 중에서는 러시아 루블화(40%↓),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31%↓), 멕시코 페소화(21%↓), 말레이시아 링깃화(16%↓), 한국의 원화(15%↓) 등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통화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G는 원자재 가격은 금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하고, 신흥국 국채 중에는 대만과 한국의 국채만이 안전자산으로 간주돼 국채금리는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진국에서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최저 1.25%까지 떨어지고, 독일 10년물 금리는 0%에 도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식시장에서는 아시아 시장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 일본·인도·한국·유로존 증시는 각각 10% 떨어지고, FTSE100지수와 브라질, 캐나다 증시는 15%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SG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윤영숙 김경윤 기자 ys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