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부채 GDP의 86%, 기업부채 105%에 달해
중국, 금융위기 이후 총 부채 11% 증가…"올해 부도 기업 더 늘어날 것"

중국의 기업 부채 규모와 증가율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서도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가계부채에 대해서도 위험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 6월 사이 중국의 총 부채 증가율은 연간 11.0%, 홍콩의 경우 19.3%로 '적색' 평가를 받았다.

적색은 S&P가 설정한 6단계 가운데 가장 높은 단계로, 상대적으로 매우 위험도가 높은 상태를 뜻한다.

이 기간에 조사 대상 27개국 가운데 부채 증가율로 적색 평가를 받은 국가는 그리스(8.7%), 중국, 홍콩뿐이었다.

부채 가운데서도 특히 기업부채 증가율과 규모가 위험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기업부채액은 지난해 6월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163%에 달하며 증가율은 7.3%를 나타냈다.

홍콩의 기업부채액은 GDP의 226%, 증가율은 16.7%였다.

S&P는 "중국의 투자 회수금이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올해 디폴트(채무불이행) 기업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총 부채액은 GDP의 232%, 증가율은 4.5%로 조사돼, 중-고 위험 수준을 뜻하는 '황색' 등급을 받았다.

다만, 기업 부채액은 GDP의 105%로 '적색' 등급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수준을 뜻하는 '주황색' 등급을 받았다.

한국의 가계부채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가계 부채는 GDP의 86%로 호주를 제외하고 아태지역 10개 조사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전체 조사국 가운데서는 5번째였다.

2009∼2015년 6월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1.7%로 마찬가지로 주황색 등급을 받았다.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heev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