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관련 리스크를 종합 평가하려면 차주별·금융업권별 분석이 가능하도록 통계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일 ‘가계부채 미시분석 강화를 위한 통계체계 개선의 필요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존 가계부채 관련 자료에 국세청 연말정산자료,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등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계부채 총량이 같더라도 소득분위별, 연령별, 만기구조, 대출용도, 담보대출 상환구조 등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이용 가능한 가계금융·복지조사, 한국노동패널조사, 가계동향조사, 신용정보회사의 개인신용정보 등으로는 종합적인 분석에 한계가 있다는 게 임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그는 “다양한 미시 정보가 있지만 자료마다 한계가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통계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166조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4% 증가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