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단행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9년 6개월 만의 일이자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취임한 후 처음 있는 일이다.

'경제대통령'으로도 불리는 옐런 의장은 지난해 2월 취임한 이후 다양한 경로로 통화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왔다.

다음은 옐런 의장이 그동안 내놓은 통화정책 관련 발언들이다.

▲전임자인 벤 버냉키 의장의 정책을 지속하겠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이에 따른 리세션(경기후퇴) 이후 경제의 건전성을 회복하고 금융제도를 강화하려는 정책이 크게 진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

(2014년 2월, 취임 후 첫 청문회인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서)
▲통화 정책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이뤄지지 않는다.

연준은 적절한 정책을 결정하기 위해 향후 고용 및 물가상승률 정보를 긴밀하게 예의주시할 방침이다.

(2014년 8월 연준의 연례 경제정책회의 '잭슨홀 미팅'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기준금리) 정상화 절차가 앞으로 두 번(next couple of)의 회의가 열리는 동안 시작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2014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발표 기자회견에서)
▲선제안내의 변경이 FOMC의 향후 두 번 정도의 회의에서 목표금리의 인상으로 반드시 이어진다는 신호로 읽혀서는 안 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만약 경제 여건이 개선된다면 FOMC는 매 회의 때마다(meeting-by-meeting basis) 논의를 거쳐 어떤 시점에 금리를 올릴지에 대한 고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런 고려가 이뤄지기 전에 선제안내는 변경될 것이다.

(2015년 2월 상원 은행위원회 상반기 통화정책 청문회에서)
▲올해 안 어느 시점에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높이기 위한 초기 조치에 나서고 통화정책의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고용과 물가가 우리(연준)의 목표 수준에 도달했을 때까지 통화정책 강화를 늦춘다면 경제를 과열시킬 위험이 있다.

연방기금금리가 오르기 시작한 다음에는 정상화의 속도가 점진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방기금금리가 장기적인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가려면 몇 년은 걸릴 것이라고 기대한다.

(2015년 5월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 지역 상공회의소 연설에서)
▲(시장의) 관심이 가끔은 첫 연방기금금리 인상 시점에 너무 집중된다.

시장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금리인상의) 경로여야 한다.

우리(연준)는 (FOMC) 회의 때마다 0.25%포인트씩이라는 기계적인 경로를 따를 것이라고 절대 기대하지 않고 있다.

연방기금금리를 올리는 데서 어떤 형태의 기계적 접근법도 따를 계획이 없다.

(2015년 6월 FOMC 정례회의 결과발표 기자회견에서)
▲경제 상황이 현재의 기대 대로 전개된다면 연내 어느 시점에 연방기금금리를 인상하는데 적절할 여건이 마련될 것이다.

기준금리 인상은 금융위기의 트라우마로부터 (미국) 경제가 얼마나 치유됐는지를 시사할 것이다.

연방기금금리를 처음 인상하고서도 상당 기간은 (시장에) 매우 순응적인(highly accommodative) 정책이 이어질 것이다.

(2015년 7월 하원 금융위원회 하반기 통화정책 청문회에서)
▲올해 말까지는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

나와 (FOMC) 위원들이 금리 인상에 공감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다.

경제가 놀랄 정도로 바뀐다면 우리의 판단은 바뀔 수 있다.

(2015년 9월 매사추세츠대 강연에서)
▲12월에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살아있다.

(2015년 11월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서)
▲고용시장에서의 진전은 장기적인 물가상승 추세가 합리적으로 잘 형성돼 있다는 내 판단과 함께, 에너지와 수입물가 때문에 발생하는 물가하락 효과가 완화될 때 물가가 목표치인 2%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내 믿음을 뒷받침한다.

위원회 참가자들(FOMC 위원들)은 고용이나 물가 동향이 연준의 목표치에 가까워졌다 하더라도 당분간 경제 여건 때문에 위원회(FOMC)에서 장기적인 정상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가 유지될 수 있다.

(2015년 12월 4일 상·하원 합동 경제위원회 청문회에서)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smi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