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을 앞둔 아시아 경제가 미국이 마지막으로 금리를 올렸던 9년전에 비해 안좋은 상태라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2004년 중순 앨런 그린스펀 전 미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를 1%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2006년 중순까지 2년반 동안 5.25%까지 올렸다.

당시 일본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이었고 중국은 두자릿수 성장을 했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에서 회복한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다시 성장세에 불이 붙고 있었다.

아시아 경제는 상승세였다.

미 연준이 9년만에 금리인상에 나서는 올해에 아시아 경제는 훨씬 가라앉아있다.

중국경제는 25년만에 최악으로 성장이 둔화됐고, 일본은 최근 3년만에 2번째 경기침체에 빠질 뻔했다.

아시아에서 자금은 썰물처럼 빠져나갔고 한때 고성장했던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경제는 절뚝거리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이 지난 9월 중국 증시 급락 등을 이유로 금리인상을 연기했을 정도다.

아시아경제가 직면한 가장 명백한 위험은 급증한 달러부채다.

이에 따라 미국이 금리인상에 나서면 아시아 각국에서 대대적인 자금 순유출로 통화가치가 떨어져 외채를 갚기 어렵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중국이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문제라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세계적 국제금융 전문가인 배리 아이켄그린과 리카르도 하우스만은 신흥국이 해외에서 돈을 빌렸다가 처한 어려움을 '원죄'라고 일컫기도 했다.

반면에, 다른 전문가들은 아시아국가들이 외환보유고가 완충작용을 해주고, 변동환율제 도입이 확대된데다 상대적으로 탄탄한 재정 때문에 미국이 금리 인상기에 들어가도 충분히 방어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의 필딩 첸과 톰 오를릭 애널리스트는 "연준은 사전에 충분히 금리인상 신호를 줬기 때문에 아시아지역에서 급격히 자본이 유출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만약 자본유출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중국은 직접적 타격은 입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