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두 곳의 파격 임금개혁] 하나·국민·신한은행 평균연봉 1억 넘어
은행권에서는 최근 호봉제 중심의 비탄력적인 임금 체계로는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서 생존하기 어렵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임금체계 개편은 노동조합과의 협상이 필요한 사안이어서 은행들은 정작 성과주의를 확산시키는 데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국내 은행들의 임금 체계는 대개 단일 호봉제다. 2000년대 초반부터 성과연봉제가 도입됐지만 개인별 성과 평가와 상관없이 받는 고정급이 보수의 대부분이다. 연공형 호봉제에 따라 지급되는 기본급의 비중은 평균 87.5%나 된다. 개인별 성과 평가 결과는 승진에만 반영되고, 급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다.

성과급 비중이 낮은 데다 실질적인 차이도 거의 없다. 성과급의 최상위 등급과 최하위 등급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무늬만 성과주의’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성과급도 대부분 지점, 부서 단위로 평가가 이뤄져 개인별 평가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임금 수준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은행 중 옛 외환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한국씨티은행, 옛 하나은행의 대졸 남성 직원의 평균 급여(2014년 기준)는 1억원 이상이다. 하지만 일부 은행을 제외하면 연간 직원 한 명이 창출하는 순이익은 연 평균 임금의 70~80%대에 그치고 있다.

정부도 이 같은 은행권 고임금·저생산성이 호봉제 위주의 임금체계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은행들에 개인별 성과 평가를 반영한 성과연동형 임금 체계를 도입하도록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기업은행, 산업은행, 농협은행 등은 이에 따라 임금체계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신입행원부터 일정 기간 승진을 못하면 호봉의 기본급 상승을 제한하는 이른바 ‘기본급 상한제’를 도입한 곳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정도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