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극복 열쇠는 경제교육] 국민 72% "학교 졸업 후엔 경제교육 못 받아"
경제활동이 날로 복잡해지면서 경제 교육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학교를 제외한 민간과 공공기관을 통한 경제 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5월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6.9%가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62.5%, ‘약간 필요하다’는 응답이 34.4%였다. 경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1%에 불과했다.

그러나 학교를 졸업한 뒤 경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국민은 많지 않았다. 응답자의 28.0%가 학교 밖에서 경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했고, 72.0%는 없다고 답했다. 관련 정보가 없다는 점(29.3%)과 인근에 교육기관이 없다는 점(23.3%)이 경제 교육을 받지 못한 주된 이유였다.

학교에서마저 경제 교육은 점점 외면받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 중 경제 과목 응시자 비율은 2007학년도 27.8%를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2011학년도에 19.4%로, 2015학년도에는 2.7%로 떨어졌다. 2014학년도부터 사회탐구 영역 선택 과목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든 것도 이런 추세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 과목 중 경제를 선택한 고교의 비율은 2013년 27.5%에 그쳤다. 한국사(93.1%), 사회문화(67.1%), 한국지리(63.6%)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중학교에선 사회 과목 공통 과정 중 경제 관련 단원이 교과서 뒷부분에 배치돼 있어 학기 내에 수업을 마치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선택 교육 과정에서 경제를 택하지 않는 학생은 공통 과정에서 배우는 것으로 경제 수업을 마치는데 이마저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KDI는 북한이탈 주민, 다문화 가정 등에 대한 경제 교육이 미흡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북한이탈 주민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려면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경제 교육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