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던 과거 시기에 증시 영향은 국면별로 엇갈렸으며 이번에도 인상 여부보다 인상 속도 등이 증시 향방을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준의 9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16일(현지시간) 시작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결론이 나 한국시간으로 18일 새벽 3시께 발표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이 17일 낸 '개봉 임박, 미국 출구전략 스토리'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는 1994년과 1999년, 2004년 등 모두 세차례 있었다.

1994년에는 경기가 확장국면에 진입하자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6.00%까지 급격하게 인상했다.

1999년에는 연 4.75%에서 6.50%로 올렸다.

앨런 그린스펀 당시 연준 의장이 지속적인 주가 상승에 따른 잠재적 거품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 정책을 펴겠다고 밝힌 이후 단행된 인상이었다.

2004년에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 둔화에도 물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려고 기준금리를 올렸다.

기준금리는 2년여에 걸쳐 연 1.00%에서 5.25%로 인상됐다.

보고서는 경기부양을 위한 기준금리 인하 이후 통화정책 정상화(긴축)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려는 현 상황과 유사한 인상 시기를 1994년과 2004년이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두 시기의 금리 인상 파장이 극명하게 엇갈렸다는 점이다.

1994년 금리 인상은 사전 인상 시그널(신호)이 충분하지 않았고 인상폭 예측도 불가능해 세계 증시에 미치는 파장이 컸다.

당시 미국의 금리 인상은 자본의 급격한 신흥국 이탈을 초래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촉발시킨 요인으로도 지목된다.

증시도 미국과 선진국은 제한적인 범위에서 하락했지만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은 급락했다.

다만, 코스피는 두 달간 11% 남짓 하락하고서는 저금리와 저유가, 저환율의 '3저 호황'에 힘입어 상승세로 돌아섰다.

반면 2004년 인상 시기 때 연준은 그 해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장기간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단계적으로 올렸다.

아울러 사전에 여러 차례 점진적인 인상을 시사해 시장 충격이 크지 않았다.

당시 신흥국과 선진국 증시는 모두 견조한 우상향 흐름을 보였다.

김진영 연구원은 "미국의 통화정책 변경이 8년 만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충격은 불가피할 것이나, 연준이 그동안 꾸준히 시장과 소통해온 만큼 금리 인상 후 불확실성 해소라는 긍정적인 인식이 조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리 인상 후 증시는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전환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의 단행 여부보다 추가 인상 시기와 그 속도가 세계 증시의 향방을 좌우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indi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