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GDP 대비 공공부채, 2007년 이후 35%P 증가

국가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가 그리스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 진단했다.

매체는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 글로벌(MGI)을 인용해 선진국의 공공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평균 35%포인트 늘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리스가 예외적인 경우임에도 국가 디폴트는 한꺼번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탈리아(47%P)와 영국(50%P), 일본(63%P), 포르투갈(83%P) 등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맥킨지의 수잔 룬드 파트너는 "그리스가 지금 경제 주기에서 마지막 채무조정 국가일까"라고 묻고는 "전 세계를 둘러보면 대규모 부채와 저성장이라는 매우 부정적인 조합을 보여주는 나라를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경제학자인 카르멘 라인하르트와 케네스 로고프 교수는 "국가 디폴트가 무리지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경고했다.

1930년대에 미국의 대공황은 유럽과 중남미 국가의 디폴트를 초래했고, 1980년대에는 원자재 가격이 하락해 서구은행에서 차입을 크게 늘린 신흥국의 디폴트 물결이 전개된 바 있다.

이번에는 디폴트가 그리스와 키프로스, 아르헨티나 수준에서 그치고 있지만, 고요함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우크라이나는 민간 채무 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국가는 아니지만 푸에르토리코도 사정은 같다.

아일랜드와 스페인, 이탈리아에서의 야당 정치인들은 이미 자국의 부채 일부에 대해 채무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압박한 바 있다.

맥킨지에 따르면 작년 세 국가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각각 115%, 132%, 139%로 집계됐다.

로고프 교수는 다만 디폴트가 급증할 것으로 가정하는 것에는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그리스 디폴트에 따른 전염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고, 중국의 경기 둔화에도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은 환율 정책으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정선미 기자 smje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