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직장인 2명 중 1명이 이직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는 이런 내용을 담은 ‘블라인드 지수 2022’의 세부 분석 결과를 30일 내놨다.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직장인 5만7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51%)이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연차별로 보면 사원급(1년 이상 5년 미만)의 이직 시도율이 55%로 가장 높았다. 신입급(1년 미만)의 49%, 대리급(5년 이상 9년 미만)의 54%, 과장급(9년 이상 14년 미만)의 48%, 부장·임원급(14년 이상)의 37%가 지난해 이직 활동에 나선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50%, 5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과 10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각각 54%, 1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47%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생산직(생산관리 포함)의 이직 시도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공 서비스직(운항 포함)은 37%로 가장 낮은 이직 시도율을 보였다. 업계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59%로 가장 높았다. 공기업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재직자들의 이직 시도율이 낮은 기업들의 공통점은 워라밸, 동료 관계, 표현의 자유의 3가지 요인의 만족도가 높았다. 워라밸은 회사를 다니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 동료 관계는 동료들에게 충분한 업무 지원을 받고 있는지, 표현의 자유는 회사에서 어떤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솔직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개발하는 드림에이스가 다음달 스타트업 가운데 처음으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인포테인먼트 기기 생산에 들어간다. 올해 제조하는 중국 전기트럭 장착용 기기는 1만5000대로, 매출은 120억원 규모다. 이 회사는 2015년 설립 초기 차에서 즐기는 음악·영상, 길 안내, 차량 점검 정보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사업으로 시작했다. 하드웨어 없이는 투자 유치도, 고객사 수주도 어려워 제조에까지 뛰어든 경우다.#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삼성SDS에서 홈IoT(사물인터넷)사업부를 인수했고, 금융 슈퍼 앱 토스는 카드 결제 단말기 제조업체를 사들여 토스플레이스를 설립하고 하드웨어를 장착했다. 앞서 카카오와 네이버는 인공지능(AI) 스피커를 시도했다가 포기했지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는 하드웨어 스타트업 인수를 통해 주도권 경쟁을 하고 있다.벤처 투자 혹한기에 하드웨어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성장한 플랫폼 기업 대신 수익을 내는 제조 스타트업과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팹리스 반도체, 2차전지, 항공우주 스타트업에 뭉칫돈이 몰렸으며 스마트 소형가전, 웰니스 기기 업체 등도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기회 열리는 하드웨어 스타트업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가운데 의료기기를 제외한 하드웨어 스타트업은 전체의 9% 정도다. 업종별로는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량 21.5%, 비메모리 반도체 16.8%, 드론 및 항공우주 14.9%, 정보기술 기기·부품 14%, 2차전지 10.3%, 로봇 9.3%, 특수·신소재 6.5%, 3차원(3D) 프린
“협력과 경쟁의 패러다임을 도입해야 중소기업이 국가 성장의 초석이 될 수 있습니다.”29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오동윤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장은 “국가 성장을 이끌 10만 중소기업을 양성하기 위해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논의해야 할 때”라며 이같이 밝혔다. 오 원장은 성균관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롯데경제연구소,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 등을 거쳐 2021년 6월 제8대 중소벤처연 원장으로 취임했다. 중소벤처연에서 개방과 내부 경쟁을 통해 정책 연구 성과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오 원장은 “중소기업 정책은 기본적으로 자금을 쥐여주는 정책”이라며 “지금처럼 거시경제 상황이 고금리·고물가·고환율로 불리한 가운데선 먹히지 않는 방식”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금은 긴 호흡으로 성장 전략과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만드는 심기일전의 시간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오 원장은 세계 5위권의 ‘초일류 대한민국’을 달성하는 성장 전략으로 ‘10만 중소기업 양병설’을 제안했다. 삼성과 현대의 뒤를 이을 글로벌 기업이 중소기업 가운데 탄생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자는 얘기다.이를 위한 중기 정책 역시 성장형과 생계형으로 이원화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제조업, 글로벌기업, 기업가형 소상공인 등이 대상인 성장형 정책은 혁신과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한편으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이 대상인 생계형 정책도 언제든지 정책 대상들이 성장형 정책 대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오 원장은 “한정된 자원을 모든 중소기업에 나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