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바현에 있는 신일철주금 기미쓰제철소 내 열연공장에서 슬래브가 압축 롤러를 통과하면서 수증기를 내뿜고 있다. 신일철주금 제공
일본 지바현에 있는 신일철주금 기미쓰제철소 내 열연공장에서 슬래브가 압축 롤러를 통과하면서 수증기를 내뿜고 있다. 신일철주금 제공
도쿄에서 동쪽으로 차를 타고 가면 1시간 반 정도 걸리는 지바현. 2012년 신일본제철과 스미토모금속(住友金屬)의 합병으로 아르셀로미탈에 이어 세계 2위 철강사로 올라선 신일철주금(新日鐵住金)의 기미쓰제철소가 있는 곳이다. 도쿄돔야구장 220개 넓이의 이 제철소는 규슈 오이타제철소와 함께 연간 조강생산량 1000만t을 넘는 신일철주금 최대 제철소 중 하나다.

지난달 9일 이 제철소의 열연강판 공장 안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다. 벌겋게 달아오른 슬래브가 덜컹거리며 여러 개의 압축 롤러를 통과한 뒤에 ‘쿵’ 하는 소리를 내며 열연강판이 튕겨 나왔다. 하지만 기미쓰제철소는 내년 3월 말 쇳물을 만드는 고로 3기 중 한 기의 가동을 중단한다. 지난해 강관 생산라인을 이바라키현의 가시마제철소로 이전한 데 이어 두 번째 생산라인 조정이다.

제철소가 고로 가동을 중단하는 것은 사람의 심장을 덜어내는 것과 같다. 일본에서도 2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신일철주금 관계자는 “합병을 통해 중복되는 사업 영역을 없애고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일본 기업이 구조조정에 수동적이라는 얘기도 이제 옛말이다. 경쟁사와 합병하고 주력 사업도 서슴없이 정리하며 수익성 개선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신일철주금, 2년간 1800억엔 절감

신일철주금 등장 전 일본 철강산업의 위상은 초라했다. 1970년부터 1997년까지 28년간 조강생산량 기준 세계 1위이던 신일본제철이 2010년 아르셀로미탈과 포스코 등에 밀려 6위까지 추락했다. 신일본제철의 선택은 일본 내 3위 업체인 스미토모금속과의 합병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신일철주금은 단순히 덩치를 키우는 데 머무르지 않고 주특기를 철저히 살리는 방향으로 사업을 조정했다. 과거 신일본제철은 자동차용 강판에, 스미토모금속은 에너지용 강관에 경쟁력이 있었다. 강점을 가진 분야의 생산을 늘리는 대신 저수익 라인은 과감히 조정했다. 16개 생산 거점 중 기미쓰제철소 등 4개 제철소의 강판 및 강관 관련 14개 라인의 생산을 중단했다. 내년 3월 기미쓰제철소 고로에 이어 2019년 3월에는 기타큐슈의 고쿠라지구 내 고로 한 기도 가동을 중단한다.

생산 합리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2013회계연도(2013년 4월~2014년 3월)에만 1200억엔의 원가를 절감한 데 이어 2014회계연도에는 600억엔을 더 줄였다.

2017년에는 지금보다 1500억엔을 더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덕분에 신일철주금은 세계 최고의 수익성을 갖춘 철강사로 거듭났다. 2013회계연도에 매출 5조5161억엔, 영업이익 2983억엔으로 5.4%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1990년 이후 23년 만에 포스코의 영업이익률(4.8%)을 뛰어넘었다. 순이익(2427억엔)은 세계 최대였다. 합병 1년 반 만의 결실이다. 2014회계연도 영업이익률은 6.1%까지 올라갔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달 3일에는 해외 사업의 수익성 강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2017년 경상이익률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중기경영계획을 발표했다.
['혁신' 되찾은 일본기업, 더 강해졌다] 합병 후 1년간 '철' 깎는 구조조정…세계 최대 이익 낸 신일철주금
스미토모화학, 구조조정으로 흑자전환

지바현에서는 또 다른 회사의 사업 구조조정도 진행되고 있다. 일본 2위 종합화학사인 스미토모화학이 생산량 연 42만t의 대규모 에틸렌 생산공장을 내달 폐쇄할 예정이다. 1965년 문을 연 지바 에틸렌 공장은 이 회사에 역사적 의미가 남다르다. 이전까지 비료와 살충제 정도를 만드는 데 그쳤던 스미토모화학이 명실상부한 종합화학기업으로 거듭나는 시발점이 됐던 곳이기 때문이다. 스미토모화학은 관련 설비 중 쓸모있는 것은 다른 회사에 매각한 뒤 일본 내 에틸렌 생산을 중단한다.

지난달 18일 도쿄 스미토모화학 본사에서 만난 나카지마 주니치 홍보부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진행해온 구조조정이 일단락된다는 의미가 있다”며 “석유화학 등 전통 화학산업의 비중을 줄이고 새로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 주요 사업 부문 중 정밀화학 부문을 없앤 데 이어 이달 열리는 주주총회에서는 기초화학 부문도 폐지할 예정이다.

빈자리는 제약과 건강·농업, 환경에너지 등 새로운 사업 부문으로 채워진다. 나카지마 부장은 “스미토모화학은 배아줄기세포 등 의학 분야에서도 세계 최정상의 기술력을 자랑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2월 스미토모화학 연구팀이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함께 줄기세포에서 망막을 재생하는 신기술을 개발한 것이 단적인 예다.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회사에서는 2012회계연도 순손실이 511억엔에 달했지만 2014회계연도에 순이익 450억엔의 흑자를 낸 것으로 추산한다. 3년간 1조9000억엔대에 머물던 매출도 지난해 3월 결산 때 2조2438억엔으로 뛰었다. 류상윤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의 실적 개선은 단순히 엔저로 인한 것이 아니라 지난 10여년간 절치부심하며 진행한 구조조정 성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특별취재팀=서정환 도쿄특파원(팀장), 노경목(지식사회부), 남윤선(산업부) 기자,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류상윤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LG경제연구원 공동기획

지바=서정환 특파원/도쿄=노경목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