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디플레’에 한발 더 다가서면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세운 올해 6%대 경상성장률 진입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경상성장률이란 경제성장률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한 값이다.

최 부총리는 지난해 10월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에서 “한국의 경상성장률이 지난 3년간 3%대에 그쳤는데 이럴 경우 세금 수입이 10조원 정도 부족해진다”며 “디플레이션이 되면 시장 경제가 돌아가기 어렵기 때문에 경상성장률을 (내년에는) 6% 정도로 가져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달 대비 0.5%를 기록해 지난 1월(0.8%)에 이어 0%대에 머물렀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8%로 내다보고 있지만 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결국 4%대 실질성장률에 2% 수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합해 6%대의 경상성장률을 달성한다는 최 부총리의 ‘경제 비전’은 실현 가능성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012년 이후부터 성장과 물가의 동행관계가 과거보다 뚜렷해지고 있어 저물가를 어떤 방식으로든 극복해야 한다”며 “하지만 지금 상황에선 통화·재정 확대만으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