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정부가 국내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시장에서 대기업의 사업 확장을 제한한 이후 해외 MRO 대기업들이 국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기업에 이어 이번엔 프랑스 MRO 대기업이 국내 시장 진출에 나섰다. 정부의 대기업 사업제한 조치가 중소 MRO 기업의 자생력을 키우겠다는 당초 취지와 달리 ‘안방’을 해외 기업들에 내주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 2014년 10월14일자 A1면 참조
[中企 적합업종 논란] 대기업 MRO 사업제한 3년…美·獨 이어 佛기업까지 '안방' 넘봐
밀려드는 외국 MRO

28일 재계에 따르면 이달 초 문구 MRO 기업인 큐브릿지 인수전에 아이마켓코리아(IMK)와 함께 미국 오피스디포, 프랑스 리레코가 입찰에 참여했다. 큐브릿지는 모나미그룹 계열사로 문구 등 사무용품 MRO 전문기업이다. 2013년 기준 매출 1686억원, 영업이익 15억원으로 국내 MRO업계 10위 회사다. 최근 마무리된 입찰에선 IMK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큐브릿지를 인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업계는 갈수록 국내 MRO시장을 노리는 해외 대기업들의 공세가 만만치 않다는 데 우려하고 있다. 자칫 국내 MRO시장 주도권을 외국 기업들에 다 내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2011년 11월 정부의 ‘대기업 MRO 사업제한’ 방침이 나온 이후부터 외국 MRO 기업들은 국내 시장에 속속 들어오고 있다. 세계 최대 MRO 기업인 미국 그레인저는 2013년 일본 자회사를 통해 한국법인(나비엠알오)을 세웠다. 독일 최대 MRO 기업 뷔르트도 작년 초 국내 중소기업 한국화스너를 인수해 국내 시장에 뛰어들었다. 일본 미스미그룹도 작년 1월 한국법인을 세워 공구 기자재 등 MRO시장을 공략 중이다. 이번 큐브릿지 인수전에 참여한 프랑스의 리레코도 전 세계 27개국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MRO 기업이다.

위기감 커지는 국내 업계

외국 기업들의 공세 앞에 국내 MRO 회사들은 속수무책이다. 대기업들은 정부의 사업제한 조치로 손을 놓은 상태고 중소기업들은 자본력과 가격 경쟁력에서 뒤지고 있어서다. 실제 2011년 12개사에 달했던 국내 대기업 MRO들은 대부분 사업을 접거나 국내 사업을 축소했다. 삼성은 MRO 계열사인 아이마켓코리아를 인터파크에 팔았고, 한화는 사업을 접었다. SK는 MRO 계열사를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했다. 서브원(LG 계열), 엔투비(포스코 계열), KeP(코오롱 계열) 등 남은 회사들은 국내 매출을 줄이는 대신 해외 영업을 강화하는 쪽으로 사업을 재편 중이다.

그나마 외형을 키운 곳은 IMK뿐이다. IMK는 인터파크에 인수된 뒤 사업 확장을 제한받는 대기업으로 분류되지 않으면서 3년 새 매출을 두 배 가까이 늘렸다.

‘대기업 MRO 사업제한’ 규제는 작년 11월로 3년간의 적용시한이 지났다. 이와 관련해 국내 대기업들은 최근 동반성장위원회에 규제를 폐지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사업제한 규제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MRO 사업제한 3년이 지났는데도 동반위는 규제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조차 내놓지 않고 있다”며 “‘중소 유통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효과가 있었는지, 외국계 기업에만 이익이 됐는지를 분석해 규제 존속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MRO

기업의 제품 생산과 직접 관련된 원자재를 제외한 소모성 자재를 이르는 말. 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용어다. 국내 MRO시장은 매년 20% 이상 급성장하고 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