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우리 기업 등 3개 은행의 일본 내 점포 자산이 지난 한 해 동안 20% 이상 급감했다. 작년 9월 도쿄지점 부당 대출 사건 여파로 일본 현지 평판이 나빠지면서 고객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탓이다. 일본 현지 영업 기반마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최근 해당 은행들에 신뢰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민은행 日 점포 자산 30% ↓

국내銀 '도쿄지점 부당대출' 후폭풍…국민·우리·기업, 日 자산 '곤두박질'
11일 금융당국 및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우리 기업 등 3개 은행의 일본 점포(도쿄지점) 자산은 작년 6월 말 2293억엔에서 올해 6월 말 1738억엔으로 크게 줄었다. 1년 새 3개 은행의 일본 내 자산이 24%나 쪼그라든 것이다.

국민은행의 자산 축소 폭이 가장 컸다. 958억엔(작년 6월 말 기준)이던 국민은행의 일본 점포 자산은 1년간 674억엔(올해 6월 말 기준)으로 29.6% 줄었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의 일본 점포 자산은 573억엔에서 412억엔으로, 기업은행은 762억엔에서 652억엔으로 각각 감소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통상 은행들의 국내 점포 자산성장률은 경제성장률과 비슷한 2~5% 수준이고 해외 점포의 경우엔 연간 10~20%씩 자산이 늘어난다”며 “일본처럼 자산이 한 해 동안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일본 점포의 자산이 급감한 이유는 작년 9월 이들 은행의 도쿄지점 부당 대출 사고가 외부로 알려지면서 영업이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고 이후 해당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신규 영업을 줄인 데다 일부 고객 이탈 현상까지 생기면서 여신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부당 대출에 따른 부실채권(NPL) 매각도 자산 감소에 큰 영향을 줬다. 국민은행의 경우 도쿄지점에서 발생한 부당 대출 관련 채권을 외국계 투자은행(IB)에 팔면서 자산이 확 줄었다. 도쿄지점에서 발생한 부당 대출 1700억원 중 1000억여원을 일본 현지에서 부실채권으로 매각했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도 부실채권 비율 관리를 위해 일부 자산을 팔았다.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해당 은행 관계자는 “부당 대출 사태 이후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총 자산이 줄어든 것”이라며 “예전처럼 신규 대출을 늘리기 힘든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당국, 평판위험 관리계획 요구

은행들의 일본 내 여·수신 규모 감소 및 자산 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당국은 최근 국내 전 시중은행에 ‘평판위험 관리 방안’을 제출하라고 지도 공문을 보냈다.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신뢰 회복을 위한 이행 계획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자산 감소와 건전성 악화가 더 지속될 경우 일본 현지의 영업 기반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내 은행 본점과 일본 점포에 대한 제재 조치가 마무리되면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며 “일본 이외의 다른 해외 점포에서도 평판 악화로 인허가 차질 또는 영업력 약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모니터링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장창민/김일규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