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 패키지에 이어 경남·광주은행까지 우선협상대상자가 정해져 우리금융그룹 민영화가 탄력을 받게 됐다.

계열사의 약 60%, 자산의 약 40%가 떨어져 나가는 우리금융은 내년 초 우리은행과 합병 절차에 들어가면서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는다.

◇우리금융 민영화, 3단계 중 2단계 완료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우리금융 민영화는 크게 3단계로 나뉜다.

우투증권을 비롯한 증권 계열사 매각과 경남·광주 등 지방은행 매각에 이어 우리은행에 남은 계열사를 묶어 파는 게 최종 단계다.

예상보다는 다소 늦어졌지만, 우투증권 패키지와 지방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를 연내 정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은 큰 차질 없이 현실화했다.

진행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논란에도 원칙이 흔들리지 않고 추진한 결과로 평가된다.

우투증권 패키지(우투증권+우리아비바생명보험·우리금융저축은행·우리자산운용) 매각은 '배임 논란'이 한때 발목을 잡았다.

생명보험과 자산운용을 장부가 이하로 헐값에 팔아넘기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에다 우투증권 개별 입찰가를 가장 높게 써낸 KB금융지주 대신 개별 입찰가가 가장 낮은 농협금융에 주는 게 온당하냐는 논란이었다.

그러나 정부와 우리금융은 '패키지 딜'의 원칙을 적용, 패키지 전체 가격을 가장 높게 써낸 농협금융을 지난 24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지방은행 매각은 지역 정서가 시종일관 논란이 됐다.

특히 경남은행의 경우 부산에 기반을 둔 BS금융지주와 대구·경북에 기반을 둔 DGB금융지주가 맞붙는 형국에서 지역 사회 환원을 주장하는 경은사랑 컨소시엄이 가세, PK(부산·경남)와 TK(대구·경북)의 지역 정서가 복잡하게 뒤얽혔다.

정부는 이번에도 '최고가 매각'이란 원칙에 충실했다.

그 결과 투자자로 참여한 MBK파트너스의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 논란에 휩싸인 경은사랑·DGB 연합군을 제치고 BS금융이 최고가로 경남은행의 새 주인으로 정해졌다.

정부는 우투증권 패키지와 경남·광주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마무리된 만큼 내년 1분기 중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의 합병 절차에 착수하고, 우리은행 매각에 나선다.

◇민영화 '3전4기' 이뤄낼까…우리銀 매각 난관
2013년 마지막 날인 31일 경남·광주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까지 정해지면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역대 어느 때보다 큰 진전을 이뤘다.

첫 시도인 2010년에는 계열사 분리매각 방식을 도입, 무려 23개의 후보가 난립했으나 대부분 '함량 미달'로 무산됐다.

우리금융을 통째로 매각하려 한 2011년에는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산은금융지주가 중도 탈락하고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만 참여, 유효경쟁 불성립으로 무산됐다.

2012년에도 우리금융 민영화가 시도됐지만, 유력 후보인 KB금융이 불참하고 사모펀드마저 외면했다.

지난해 민영화 실패는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였던 박근혜 대통령(당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언급한 게 결정적이었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에선 우리금융 민영화가 재차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됐고,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에 호응해 "직을 걸고 하겠다"며 의욕을 보였다.

현재까지는 신 위원장의 다짐대로 착착 진행됐다.

우리금융을 최대한 '감량'해 놔야 몸집이 줄어든 우리은행을 팔 수 있다는 복안이다.

이에 따라 지난 6일 우리파이낸셜과 우리F&I, 24일 우투증권 패키지, 이날 경남·광주은행의 매각이 사실상 완료됐다.

14개로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많은 우리금융 계열사는 6개로 확 줄어들게 됐다.

9월 말 총자산 기준으로 따져도 428조6천억원으로 독보적인 국내 1위를 자랑하던 규모가 263조3천억원으로 40% 가까이 사라진다.

이제 마지막 관문이자 우리금융 민영화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로 꼽히는 우리은행 매각만 남은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투증권과 지방은행에 견줘 우리은행은 덩치가 워낙 커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 정도만 해도 민영화는 '절반의 성공'"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