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게임업계가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은 26억3891만달러(약 2조7877억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수출액은 약 3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임산업은 한국의 ‘수출효자’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최근 국내 게임산업은 잇따른 정부 규제로 위기를 맞고 있다. 밤 12시 이후 게임 접속을 차단하는 강제적 셧다운제, 학부모가 자녀의 게임 가능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게임시간 선택제 등은 게임산업에 직격탄을 날렸다. 여기에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게임을 마약·도박·알코올 등과 더불어 4대 중독물로 꼽자 게임업계는 망연자실하고 있다.

정부가 게임산업 규제에 나선 2011년 이후 각종 게임산업 성장 지표는 하락하고 있다. 유기홍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연간 게임물 제작 건수는 지난해 1438건으로 전년 대비 38% 급감했다. 국내 게임 제작 건수는 2009년에 2222건, 2010년 2210건, 2011년 2115건으로 정부 규제가 시작되기 전까지 비슷한 수준이었다. 올 들어선 상황이 더 심각하다. 게임물등급위원회에 따르면 10월까지 제작된 게임물은 632건에 불과하다.

게임 규제가 본격화한 2011년 이후 게임산업 수출증가율도 급락했다. 2009년 13.4%이던 게임산업 수출증가율은 2010년 29.4%, 2011년 48.1%로 급증했다. 특히 2011년 한국 게임산업의 전체 수출액은 23억7800만달러로, 출판·영화·음악 등 기타 모든 콘텐츠 수출액을 합친 것 이상이었다. 하지만 지난해엔 11%로 떨어졌다.

엔씨소프트, 네오위즈게임즈, 위메이드 등 게임 관련 주요 상장기업의 주가도 크게 하락했다. 상장된 온라인게임 10곳의 주가 합계는 2011년 7월 44만2912원이었으나 올 1월은 32만6843원으로 26.2% 떨어졌다.

이 때문에 최근 국내 게임업체들은 국산 게임을 개발하는 대신 외국 게임을 들여오는 데 열중하고 있다. 게임 회사들이 자체 개발을 멈추자 ‘온라인 게임 강국’의 위상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유기홍 민주당 의원은 “게임산업에 대한 일방적 규제로 인해 게임산업의 성장성이 둔화됐다”며 “게임을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규제 일변도의 법안만 입법한다면 앞으로 게임산업이 수출 효자 품목의 위상을 지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