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없는 김치는 못 참는 한국인들이 왜 따분한(boring) 맥주는 꿀꺽꿀꺽 잘도 마실까?”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최신호에서 던진 물음이다. 이 잡지는 “한국 맥주 시장이 과점체제이기 때문”이란 답을 내놨다.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 양대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면서 군소 제조업체들의 진입이 어려워졌고, 이 때문에 맥주의 다양성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 취재진은 서울의 슈퍼마켓을 직접 찾았다. 방문한 5곳 모두 오비와 하이트의 330㎖짜리 캔 가격이 1850원 내외로 거의 같았다. 이코노미스트는 “오비(카스)와 하이트의 맥주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처럼 보였다”며 “두 업체의 한국 맥주 시장 점유율은 거의 100%에 육박한다”고 설명했다.

경쟁이 사라진 시장은 상품의 다양성을 앗아갔다. 과점 상황에 놓인 업체들은 질 좋은 맥주를 내놓을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이 잡지는 “한국 업체들은 맥주 원료인 맥아 대신 쌀이나 옥수수를 넣어 맥주를 만들기도 한다”며 “영국 장비를 수입해 만드는 북한의 대동강맥주가 한국 맥주보다 훨씬 맛있다”고 주장했다. 양조단가를 낮추려고 저렴한 곡물을 섞는 제조방법을 지적한 것이다. 다른 곡물이 섞일수록 맥주의 풍미는 떨어지기 쉽다.

이코노미스트는 과점시장을 만든 원인으로 과도한 규제를 꼽았다. 지난해까지 한국에서 맥주를 도매로 팔려면 맥주 생산가능 용량이 100만ℓ를 넘어야 했다. 진입장벽이 높아 소규모 맥주업체들이 생겨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매체는 “올해 관련 법규가 개정돼 기준이 12만ℓ로 완화되긴 했지만 영세업자들에겐 여전히 버거운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문제도 제기됐다. 한국은 맥아와 이스트 등을 맥주 원료로 인정해 관세가 낮다. 그러나 독특한 맥주 맛을 내는 데 필요한 귀리 등은 500%의 보호관세가 적용된다는 것. 이코노미스트는 “다양한 맥주를 만들기 위한 실험이 제도적으로 차단돼 있다”고 지적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