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인 연비 측정 기준을 강화하고 측정 결과를 공개한다는 방침을 발표해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각 자동차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측정하는 연비의 공신력을 높이려 주행저항 시험을 도입하고 연비 오차 허용 범위를 기존 -5%에서 -3%로 축소하기로 했다.

또 양산 후 연비 측정 모델 수를 시판 모델 수 대비 10%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사후 측정률은 3~4%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연비 관리제도를 손질한 것은 현대·기아차 북미 연비 오류 사태로 국내 연비 측정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기아차 한 관계자는 "개선된 방안에 맞게 연비 측정과 관리를 성실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진 가운데 정부가 연비 관리 제도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완성차·수입차 업계 모두 부담감을 느끼는 분위기다.

국산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도가 바뀌면 모든 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특정 업체만 곤란한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연비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내년부터는 기존 연비보다 10~20%가량 낮아지는 새로운 복합 연비 제도가 전면 시행되는 터라 업계는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연비는 규정에 맞춰 정부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므로 각 브랜드가 고의로 더 높은 수치를 내놓기는 어렵다"며 "연비 제도 강화는 모든 업체에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연비가 공인 연비에 가까워지도록 업체의 자체 측정과 정부의 관리가 더 철저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앞으로 연비 측정 시 가혹 조건을 높이고 사후 연비 측정 차종을 늘리는 등 연비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cheror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