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니스(Wellness) 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의료·정보기술(IT) 전문기업과의 협력,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 3박자가 갖춰져야 한다.”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 지식경제R&D기획단이 공동 주최한 ‘글로벌 이노베이션 R&D 포럼’에서 참가자들은 ‘웰니스 혁명’을 위해서는 이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한국경제신문은 ‘웰니스 발전을 위한 장애요인 및 법·제도 개선 필요성’을 주제로 14일 특별좌담회를 열었다. 좌담회에는 정경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웰니스융합연구그룹장, 한형수 경북대 의과대학 교수, 마르쿠스 비델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서비스통합센터장, 안미정 지식경제R&D전략기획단 융합신산업 매니징디렉터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사회는 황창규 지식경제R&D전략기획단장이 맡았다.

▶황창규 단장=최근 건강 산업이 병을 치료하는 의료 공급자 중심에서 개인이 일상생활 전체를 건강하게 유지해 나가는 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한국은 웰니스 산업에 늦게 진출한 편이다. 국내 웰니스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정경렬 그룹장=민간 수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대기업이 적극 나서야 한다. SK텔레콤과 KT가 자회사를 만들어 의료 웰니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특히 글로벌 경쟁력과 자본이 탄탄한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진출할 필요가 있다. 의료, IT 등 관련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황 단장=독일 강소기업을 소개한 ‘히든챔피언’을 쓴 헤르만 지몬 경영학 박사는 ‘탈집중화’에 대해 말한 적이 있다. 그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도 대기업과 충분히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웰니스 산업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학계 및 의료계의 상황은 어떤가.

▶한형수 교수=여전히 웰니스를 산업이 아닌 의료행위로 보는 경향이 있다. IT를 활용한 원격진료도 일반인이 아닌 환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서비스 대상을 확대해 일반인들도 언제든지 원격으로 자신의 몸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쪽으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IT를 활용,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에 자유롭게 접속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U-헬스’가 대표적이다.

▶정 그룹장=그런 면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웰니스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개별 기업이 만들기 어려운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적극 나서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안미정 디렉터=정부가 웰니스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지식경제부는 U-웰니스 시범사업을 펼치고 있다.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를 통합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서비스 연구·개발(R&D)에 정부 투자가 보다 확대돼야 한다.

▶황 단장=유럽은 웰니스 산업의 가능성을 보고 일찌감치 시장에 뛰어들었다.

▶마르쿠스 비델러 센터장=유럽에서는 ‘균형 잡힌 삶(well-balanced life)’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부터 고령층에게 IT기기를 활용해 건강관리와 긴급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AAL(Ambient Assisted Living)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재정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막고 블루오션인 웰니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머지않아 IT기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과 결합한 웰니스 서비스 확대로 젊은 층도 이 시장의 주요 고객이 될 것으로 본다.

▶한 교수=유럽은 웰니스 산업을 비의료 분야로 구분해 육성하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은 보수적인 기준을 갖고 있다. 10여년 전 유전자 검사 기술이 발전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법적 제약으로 사장된 적이 있다. 웰니스 산업이 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의료행위와는 다른 법 적용이 필요하다.

▶황 단장=법과 제도 개선 외에 웰니스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점은 무엇인가.

▶정 그룹장=최근 일반인을 대상으로 웰니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설명한 적이 있다. 강연을 마치고 현장에서 헬스케어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건강식품을 받을 것인지 선택하라고 설문했다. 건강식품을 받겠다고 답했다. 아직 일반인 사이에서 웰니스 서비스의 가치와 효과에 대한 공감대가 없다. 일반인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정부가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비델러 센터장=이제는 ‘얼마나 오래 살 것인가’에서 ‘어떻게 오래 살 것인가’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질병 예방과 건강 관리는 모두의 관심사다. 독일은 정부와 산업계가 힘을 합쳤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직장 건강관리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비용을 대는 기업들도 크게 환영한다. 직원들이 건강해야 생산성이 높아져 회사도 큰 이익을 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리=조미현/김대훈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