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년 한결같이 '한국 경제 동반자'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열강이 밀려들면서 무방비 상태였던 조선의 가내수공업은 붕괴될 위기에 놓였다. 서울 종로 육의전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의 횡포에 대항해 1884년 민족계 상인조직인 한성상업회의소를 창립했고, 국내 상공회의소의 효시가 됐다.

1880년대 육의전 상인들이 뭉쳐 한성상업회의소를 세운 이후 부산, 인천 등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상공회의소가 설립됐다. 일제강점기에 상업회의소들은 조선 상공인들의 권익을 위해 일본 상인에 맞섰다. 8·15 광복 후 1946년 조선상공회의소와 22개 지방상의는 해방 공간의 혼란 속에서도 유일한 민간경제단체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지금의 대한상공회의소로 개칭된 것은 1948년이다.

이후 1952년 12월 상공회의소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이듬해 10월 서울 등 24개 지방상공회의소가 새로운 법에 의거해 설립됐다. 초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후 재무부 장관을 지낸 이중재 회장이었다.

1960년대는 경영상담, 실무강좌, 정책설명회 등 진흥사업이 급속히 확장됐고 수출 부흥기였던 1970년대에는 국제사업이 활발히 진행됐다.

1980년대 이후 상의는 정부 주도의 경제구조보다는 시장지향형 경제를 주장하면서 ‘시장경제 파수꾼’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뒀다.

1980년대 이후 대한상의가 가장 관심을 가진 분야는 규제개혁이다. 특히 이명박 정부 출범 초인 2008년 청와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와 공동으로 민관합동 규제개혁추진단을 설립했다. 그간 정책수요자였던 기업인들이 규제 개선의 주체로 올라선 것. 추진단은 지역순회 점검활동, 개별기업 방문을 통해 현장 점검 활동을 펼쳤다. 이후 정부의 규제개혁정책 만족도도 높아져 2009년 26.8%에서 지난해 46.4%까지 올라갔다.

상공회의소 조사연구 사업 역시 각종 경제관련 제도와 정책현안에 대해 경제계 입장을 대표하는 활동으로 꼽힌다. 금리인상 자제, 기업 자금난 해소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중견기업 육성, 지역경제 발전, 서비스산업 선진화 같은 중장기 과제에 대한 의견도 제시해오고 있다.

상의의 역할도 시대 변화와 경제 발전에 따라 바뀌었다. 그러나 세계를 무대로 치열하게 생존 경쟁을 벌이는 한국 기업들을 지원하고 대변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엔 변함이 없다는 게 대한상의 관계자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