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發) 긴축 리스크에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 생활물가 급등,자산 버블,은행 대출 급증,지방 부채 과잉,과투자 산업 등 5대 과열 문제로 정책 딜레마에 직면한 중국이 긴축 수위 조절에 실패하면 세계 경제에 차이나 쇼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짓기 위해 오는 10일 베이징에서 사흘간 열리는 중앙경제운용회의가 주목받는 이유다. "중국의 급작스러운 경기 둔화에 따른 파장에 대비해야 한다"(블룸버그통신 칼럼니스트 윌리엄 페섹)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정부를 고민에 빠지게 한 가장 큰 리스크는 물가 급등이다. 11일 발표되는 지난달 중국 물가상승률은 2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10월의 4.4%를 웃도는 4.8%로 추정된다고 중국 관영 증권시보가 6일 보도했다. 물가 급등은 사회 불안을 부추긴다. 저우왕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가격국 부국장이 전날 물가와 임금 인상을 연동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금리 인상과 위안화 절상은 인플레이션 억제에 효과적이지만 연쇄 부도,핫머니 유입 등 부작용이 크다. 그렇다고 사실상 마이너스인 금리를 그대로 두자니 은행에서 이탈한 자금이 자산 거품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루정웨이 싱예은행 이코노미스트는 "7~18일에 추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또 16개 국유기업을 제외한 중앙정부 산하 모든 국유기업에 부동산 대출을 금지했다고 중국증권보가 이날 보도했다. 부동산 거품을 막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급작스러운 자산 거품 붕괴는 중산층의 소득 감소에 따른 소비 위축과 은행 대출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긴축 수위 조절에 고심 중이다. 국제신용평가회사인 피치는 장부에 드러나지 않은 은행 대출만 3조위안에 이른다며 이는 자산 거품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지방정부 부채와 자동차 등 주요 산업의 과잉 공급도 쉽게 풀리지 않는 숙제다.

피치는 최근 중국 경제성장률이 내년 5%대로 낮아진다는 가설 아래 스트레스 테스트(자본건전성 심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