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지난 9일 기준금리를 연 2.0%에서 연 2.25%로 인상한 이후 관심은 앞으로 한은이 언제 얼마나 기준금리를 더 올릴 것이냐로 모아지고 있다.

한은은 17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린 직후 추가 인상을 공식화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잠재성장률을 유지하는 데 합당한 이자율이 연 2.0%나 연 2.25%는 아닐 것"이라며 "이번에 0.25%포인트를 올린 것은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를 보좌하는 한은 집행부는 기준금리 인상을 크게 두 단계로 생각하고 있다. 1단계는 연 3.0~연 3.25% 수준까지 인상하는 것이다. 16개월간 유지된 연 2.0%의 기준금리는 '100년에 한번 올까 말까 한 위기'에 대응하는 금리 수준이었다는 게 한은 집행부의 설명이다. 지난해 한국경제가 미미하지만 플러스 성장을 이뤘고,올해는 5.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불황기에 대응하는 수준'까지는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게 한은 집행부의 생각이다.

'불황기에 대응하는 수준'이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최저금리 수준이란 게 한은 관계자들의 진단이다. 이번 위기 이전 최저금리는 신용카드 사태가 터진 이후 2004~2005년의 연 3.25%였다.

올 하반기부터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만큼 일단 기준금리를 이 수준까지는 올려놓고 이후 성장률,물가상승률,고용,글로벌 경제동향 등을 보아 가며 '정상기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추가 상향조정할 지 여부를 결정해 나간다는 게 2차 그림이다. '정상기에 대응하는 수준'이란 연 4~5%를 지칭한다.

전문가들은 연말 안에 연 3.0%까지 인상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재정위기 여파로 유럽의 경기회복 속도가 더딘데다 최근엔 중국과 미국의 둔화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으며,국내 경제도 하반기엔 성장률이 떨어질 것이란 진단에서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속도도 '베이비스텝(baby step · 한번에 0.25%포인트씩 조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국회에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서 '점진적 · 단계적 조정'을 이미 거론한데다 국내외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한꺼번에 0.5%포인트 이상 인상하는 것은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한은이 연말까지 0.25%포인트씩 두 차례 정도 더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