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유치가 세종시 자족기능의 핵심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기업들의 동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세종시 건설에 관여하고 있는 정부 핵심 관계자는 "지금까지 80여개 기업과 접촉해 입주 의사를 타진했다"며 "해당기업 명단과 대화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접촉한 기업들에는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등 4대그룹의 주력 계열사들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빠른 속도로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기업들은 관망세로 일관하고 있다. 세종시 건설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걷히기 전에는 어떤 판단이나 행동도 하기 어렵다는 게 지배적인 분위기다. 정부가 공언하고 있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구체적 내용이 나오기 전까지는 투자 판단의 준거로 삼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기업들의 위축된 투자여력과 심리를 감안할 때 정부가 기대하는 수준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지도 미지수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투자를 결정하는 기준은 인센티브가 아니라 투자효율"이라며 "정부 입장에선 기업투자를 세종시로 집중시키고 싶겠지만 무리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특혜' 시비를 야기할 정도의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기업들 사이에 세종시에 업무시설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이 확산될 경우 분위기가 순식간에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기대하는 반전 포인트이기도 하다.

수도권에 반듯한 본사가 없는 대기업이나 전국에 흩어져 있는 생산 및 연구개발(R&D) 시설을 관장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기업들은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초기 자본금이 부족한 벤처기업이나 첨단 업종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중소기업들도 수도권보다는 세종시의 인프라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들은 그러나 세종시 문제가 첨예한 정치적 이슈로 불거진 상황이어서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종시 건설청의 인프라팀이 최근 총리실로 사무실을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들을 접촉하기 위해서다. 개별 기업이 처한 여건에 따라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는 제의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1월 정부의 최종안 마련을 앞두고 정부와 경제계의 접촉이 더욱 빈번해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조일훈/장규호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