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내수 진작, 무역불균형 해소해야"
"美 저축증대, 재정적자 축소 필요"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19일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경제국의 수출주도 성장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국제무역 불균형 심화에 따른 위험성을 경고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미국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에서 열린 아시아와 국제금융위기를 주제로 한 Fed 콘퍼런스에서 "세계경제가 회복하고 무역량이 다시 늘어나고 있지만 국제 무역불균형이 또다시 심화될 수 있다"면서 아시아국가들의 국제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내수진작 노력을 주문했다.

그의 발언은 경제위기 이후 국제무역과 자본흐름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아시아국가들의 적극적인 공조와 협력이 절실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됐다.

◇亞, 과도저축률 축소, 내수확대 필요
버냉키 의장은 "국내 저축과 수출상품에 대한 인위적인 인센티브 정책으로 이룩한 무역흑자는 국내산업과 자원배분의 왜곡을 가져와 결국 장기적으로 자국민의 수요를 제대로 충족할 수 없는 경제가 된다"고 지적, 수출주도 성장전략이 지속가능한 정책이 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 중국, 일본 등 무역흑자국인 아시아국가들에 대해 자국 소비자들의 소비를 더 늘리고 수출주도 성장 의존율을 낮춰야 할 것이라면서 "그러한 조치들은 국내 소비를 진작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냉키 의장은 "더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금융불안정 위험을 낮추려면 계속 증대되고 있는 무역과 자본흐름의 불균형에서 반드시 벗어나야만 한다"면서 이러한 불균형은 지속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亞경제, 세계경제회복 주도
버냉키 의장은 아시아국가들의 경제가 "올해 초에는 많은 국가들에서 자유 낙하하는 모습을 보여 빠른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경제지표들을 보면 강력한 반등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세계경제회복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아시아 지역경제가 올해 1.4분기에는 계속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2.4분기에는 중국과 홍콩,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아시아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연간 성장률 기준으로 두자릿수를 넘어서는 인상적인 성장을 했다고 지적했다.

버냉키 의장은 "현 시점에서 아직 경제전망에 대한 불투명성은 여전하지만 아시아가 국제경제 회복을 주도할 것처럼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경제도 이러한 아시아 경제의 빠른 회복과 국제경제와의 통합에서 큰 혜택을 보고 있다"면서 "이번 경제위기는 미국과 아시아 그리고 국제경제가 어느 정도까지 묶여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韓원화 평가절하 부분적 회복
버냉키 의장은 한국경제와 관련, 이번 금융위기로 해외자본 유입 역조현상으로 가장 심각한 타격을 입었던 국가중 하나였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해외자본 유입 역조로 금융기관 간 외화자금 조달시장의 자금 고갈로 은행들이 특히 타격을 받았고 "한국 원화는 2008년초에서 올해 3월까지 미 달러화 대비 40%나 평가절하되기까지 했다"고 그는 말했다.

하지만, 한국은행과 미국 중앙은행의 달러 통화 스와프 협정체결과 국제경제 회복 등으로 외화자금 조달시장이 안정을 되찾은 지금, "한국 원화는 부분적으로만 회복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는 미국 정부당국이 중국 위안화뿐만 아니라 한국 원화에 대해서도 앞으로 절상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져 주목된다.

◇美 재정건전성, 달러 신뢰도에 매우 중요
버냉키 의장은 미국 정부는 국민의 저축률을 높이고 재정적자 축소를 통해 장기적인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면서 이는 달러의 신뢰 확보에도 매우 긴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저축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재정적자를 축소하겠다는 분명한 선언을 통해 유지 가능한 재정의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질의 답변과정에서 "미국 정책결정자들은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재정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 확보는 미국 경제와 달러화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며 오바마 행정부도 이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재홍 특파원 jaehong@yna.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