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은 직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잘 알고 있지만 교육 예산이 없고 여유인력이 부족한데다 교육 전담자가 없어 직원 교육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이 13일 '한국경제 리스타트 교육 캠페인'의 일환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직원 교육 실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1%가 직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현실은 국내외 대기업들이 시설 및 인력 투자로 성장기회를 잡으려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중기들이 자칫 경기 회복기를 놓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전국 200개(응답 123개) 주요 중기를 대상으로 조사한 이번 설문에서 기업들은 직원 교육이 가장 어려운 이유로 시간 할애(56%),교육비 부담(24%),교육계획 수립의 어려움(13%) 등을 꼽았다. 교육 예산의 경우 1인당 연 10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17%)도 있었지만 22%가 '전혀 없다'고 답했다. 교육 담당자의 경우는 39%가 담당자가 있다고 답했지만 절반 이상이 전담자가 아니라 타부서 담당자가 겸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교육프로그램도 61%가 전혀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직원 교육 열의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 필요성에 관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이 51%가 넘었고 '필요하다'를 합하면 100%에 달했다. 당연한 것 같지만 "일본을 포함한 상당수 선진국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은 자체적으로 기르기보다는 채용해 쓴다는 인식이 강한 것을 고려하면 아주 의미있는 통계"(한광모 왓슨와이어트코리아 상무)인 셈이다.


중기 직원들의 이직이 잦은 원인에 대해서도 고된 업무량(17%)이나 저임금(12%)보다 자기계발 기회 부족(24%)을 훨씬 많이 꼽아 중기에서도 이제 교육이 의무가 아니라 권리로 인식되고 있는 변화를 보여줬다. 교육 형태에 관해서도 외부 교육기관 파견(27%),사내 집합교육(12%)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합 형태의 브렌디드 교육을 선호(54%)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라인 교육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응답도 7%나 됐다. 형식보다는 실질적인 내용으로 바뀌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기들이 소위 3무(예산없고,인력여유 없고,전담자 없고) 때문에 직원 교육을 하지 못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기보다는 정보 부족과 마땅한 교육 대안이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설문 응답자의 59%가 고용보험 환급제도를 활용해 교육 예산을 마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 못했고 '전혀 모른다'는 응답도 12%에 달했다. 황규희 박사(직업능력개발원 과학기술인력공동연구센터 소장)는 "고용보험 환급제도가 중기보다는 대기업 중심으로 활용돼 온 것이 사실"이라며 "온 · 오프라인이 결합된 형태로 중기에 다가가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