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무엇보다 서민들의 의식주와 직결되는 생활 물가가 급등하고 있어 보통 걱정이 아니다.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또다시 급등할 경우 경기회복은 고사하고 자칫 스태그플레이션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집중호우로 출하량이 줄면서 상추를 비롯한 채소값이 한 달 전에 비해 40~50%씩 올랐다. 원당 가격 급등(急騰)으로 CJ제일제당 등 설탕업체들이 이달 안에 설탕값을 8~10% 인상할 예정이고 이에따라 설탕이 들어가는 빵과 과자 등 관련 식품 가격도 줄줄이 오를 전망이다. 콩의 국제가격이 올 봄보다 40% 이상 오르면서 식용유,두부 등 가공 식품의 가격 역시 흔들리고 있다. 이 밖에 주택가격은 물론 옷과 교과서 및 참고서 가격도 일제히 올랐거나 인상 대기중이고, 휘발유 소매 가격은 일부 지역에서는 ℓ당 2000원대에 육박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물가상승을 특히 경계해야 하는 이유는 공식적인 지표 물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생활 물가는 뛰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6%에 그쳐 9년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작년에 워낙 크게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로 봐야 한다. 지표 물가가 안정됐다고 체감 물가 상승세에 안이하게 대처해서는 곤란하다는 얘기다. 실제 정부가 집중 관리하는 소위 'MB물가' 대상 52개 품목중 37개 품목(6월기준)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지표 물가와 생활 물가간 괴리를 면밀하게 관찰, 물가상승이 경기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물가 관리에 만전(萬全)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선은 물가불안 심리를 차단해야한다. 물가안정을 위한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천명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원자재값 상승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일시적 수급부족을 겪는 품목은 정부가 유통과정에 적극 개입, 가격 앙등을 해소할 필요도 있다. 가뜩이나 일자리가 부족한 마당에 생활 물가마저 치솟는다면 경기 회복의 필수 요건인 사회안정도 흔들릴 수 있음을 당국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