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어제 기준금리를 2.0%에서 6개월째 동결했다. 이는 이미 예상됐던 결과다. 최근 경기회복세가 완연해지고 있지만 정책효과 감소, 세계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하반기 경제에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지금의 금리 수준이 아니라 최근 시장 동향과 관련해 향후 금리 정책을 어떻게 가져가느냐 하는 일일 것이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어제 "3분기 경제 상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면밀히 관찰하겠다"며 "당분간 금융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하겠지만 금리인상 여부는 4분기에나 가서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출구전략에 대해 유보적 태도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의 이런 입장은 국내외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충분히 수긍할 만하다.

문제는 금융시장 및 시중 금리 동향이 심상치 않다는 데 있다. 최근 금융시장을 보면 자금의 단기화와 부동화가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협의의 통화를 의미하는 M1 증가율은 연초 11%대에서 6월에는 18.5%까지 높아졌다. 올 들어 M1은 45조원이나 늘었다. 낮은 금리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이 넘쳐나고 있는 셈이다. 주택담보대출 급등세가 꺾이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脈絡)이다. 이 총재는 "시중금리 상승은 조금 앞서간 측면이 있다"고 했지만 시중 금리 상승세도 예사롭지 않다. 국고채 금리는 물론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와 이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잇따라 오르고 있다.

그런 점에서 금리인상 시기 결정은 신중하더라도 금융시장의 혼란과 왜곡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부터 본격화해야 한다고 본다. 경기가 살아난 뒤 자칫 뒷북 치는 식이 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지금과 같은 저금리 기조는 대출에 대한 가수요를 일으켜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가격 버블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당국은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 경제동향에 대한 지속적이고 치밀한 분석과 대응을 게을리해선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