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가계 소비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면서 경기 변동성 확대를 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0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외환위기 전후 가계소비의 경기대칭성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소비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의 표준편차가 외환위기 이전(1980년 1분기~1997년 3분기) 2.5%포인트에서 외환위기 이후(1997년 4분기~2008년 4분기) 6.7%포인트로 배 이상 확대됐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표준편차는 외환위기 이전 3.3%포인트에서 외환위기 이후 4.4%포인트로 커졌다.

가계소비는 외환위기 이전 경기 수축기에도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하면서 경기 확장기의 7.5%와 비슷한 증가율을 유지했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경기 확장기에 8.1% 증가한 반면 수축기에는 1.6% 감소했다.

경기 확장 국면과 수축 국면 간 가계소비의 증가율 격차는 외환위기 이전 1.4%포인트에서 외환위기 이후 9.7%포인트로 7배로 확대됐다.

한은은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비가 경기 변화에 민감한 모습을 보이면서 변동성이 확대된 것은 가계부채의 증가와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등 납부액 증가로 가처분소득의 증가세가 둔화 된데다 주가와 주택가격 등 자산가격의 변동폭이 확대되고 가계저축률이 하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가계소비의 변동성 축소를 통해 우리 경제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부동산가격의 안정을 유도해 가계부채의 증가세를 완화시켜야 한다"며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중.저소득층의 저축률을 높이고 저소득층, 노령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도 지속적으로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harris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