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제 하반기 경제전망 및 경제운용 방향을 제시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마이너스 1.5% 내외로 잡아 지난 4월보다 0.5%포인트 상향조정했고 내년 성장률은 4%가량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올 경상수지(經常收支) 흑자는 250억달러로 확대되고 신규 일자리 감소폭은 줄어들며 소비자물가는 2%대 후반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상당히 낙관적인 전망이다. 우리 경제의 회복 무드를 앞으로도 이어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묻어나온다. 2분기 성장률이 1.7%에 달해 당초 전망치를 1%포인트나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자신감 회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을 3.5%로 예측하면서 회원국중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해 이런 전망에 힘을 보태준다.

하지만 정부가 너무 낙관적인 것 아니냐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우선 하반기에는 재정 지출을 크게 늘릴 여력이 없다. 상반기에는 재정의 조기집행을 통해 일자리 만들기 및 성장률 제고에 상당한 효과를 올렸지만 하반기엔 그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게다가 소비와 투자는 하반기에도 감소세를 벗어나기 힘든 형편이어서 더욱 조심스럽다.

우리의 수출 실적을 좌우할 세계 경제 사정 또한 녹록지 않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4일 사실상의 제로금리를 당분간 유지키로 결정한 것은 미국 경제가 아직도 부진의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立證)해주는 것에 다름아니다.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런 버핏이 "미국 경제는 여전히 난장판"이라고 지적하는 등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회의론이 늘고 있는 점도 부담스럽다. 국제금융시장 불안,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걸림돌이 만만치 않다는 이야기다.

그런 점에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당분간 확장적 정책 기조를 견지하겠다"고 밝힌 것은 옳은 선택이다. 이번 하반기야말로 우리 경제의 흐름을 좌우할 가장 중요한 시기가 될 게 분명한 만큼 경기회복에 최우선 순위를 두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투자 및 수출 확대, 일자리창출을 적극 도모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조만간 발표될 서민생활 안정대책과 기업환경개선 및 투자확대방안에는 이를 현실화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실효성 있는 방안이 담겨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경기회복 이후를 대비한 출구전략 또한 미리미리 마련해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둔다. 과도한 시중유동성을 적절한 시기에 흡수하지 못할 경우 물가 부동산가격 앙등 등 적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게 불을 보듯 뻔한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