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산업과 녹색성장을 뒷받침하는 `녹색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의 환경 정보 공개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 도건우 수석연구원은 24일 한국금융연수원이 주최하는 `녹색금융교육 세미나' 발표문에서 "녹색산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투자가 활성화하려면 투자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한다"며 "기업 환경정보를 반영해 여신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 공개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녹색금융이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하는 상품과 서비스 생산에 자금을 제공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기업 활동에 대한 자금 공급을 차단하는 친환경 금융 산업을 일컫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포스트 교토'체제에서 탄소배출 의무감축국으로 정해지면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이 예상돼 녹색금융의 중요성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이에 맞춰 국내 일부 은행들도 신재생에너지 및 저탄소 대체기술 개발과 탄소배출권 획득사업 등에 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여신 위주의 단순 상품을 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도 연구원은 "유럽연합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녹색금융이 기존의 금융상품 시장과 유사하게 발전하면서 파생금융상품까지 등장한 반면 한국의 탄소시장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녹색산업투자회사 설립이 제도화되면 공기업과 연기금의 출자가 가능해지고 민간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대체에너지 사업에 진출해 실패한 사례들을 감안할 때 녹색금융은 충분한 자금과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그는 아울러 "녹색산업과 녹색금융이 상승효과를 내려면 그린칼라(친환경부문 노동자)와 녹색투자자의 저변을 넓히고 이 분야 전문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26일 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에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도 연구원 등의 주제발표와 학계 및 금융계의 토론을 통해 녹색금융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논의한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