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작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7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해 발표한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해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었다'는 기업이 전체의 45.7%로 조사됐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33.6%였으며, '줄었다'는 응답은 20.7%에 그쳤다.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7%가 '경제 불확실성 증대'를 꼽아 가장 많았다.이어 ▲금융권 신용경색에 따른 중개기능 약화 19.6% ▲장기금융상품 투자메리트 감소 6.1% ▲기업구조조정 대비 4.3% ▲투자처 발굴애로 4.3% 등이 뒤를 이었다.

상위 500대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전체 보유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로 조사됐다. 전체 보유자금 중 단기유동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매출액 기준 1~100위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 비중은 74.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1~200위 기업이 64.7%, 201~300위가 61.2%, 301~400위가 60.8%, 401~500위가 58.7%로 조사됐다.

자금 보유 형태로는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상품이 53.5%로 가장 많았다.이어 'MMF'가 13.4%,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이 13.2%, '요구불예금' 6.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자금 사용처에 대해서는 ‘대부분 정해져 있다'가 53.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일부 정해져 있다'가 32.9%, '대부분 정해져 있지 않다'는 응답은 13.2%에 불과했다. 단기유동성 자금을 주로 사용할 곳으로는 ▲원자재 구입(40.2%) ▲차입금 상환(20.6%) ▲시설투자(15.0%) ▲생산설비 운영(11.8%) ▲기타 운영자금(9.5%) ▲인건비 지급(2.9%)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9.3%가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10.9%는 '지금보다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으며 '줄일 계획'이라는 응답은 9.8%에 그쳤다.

시중 단기유동성 증가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과 긍정 시각이 엇갈렸다. '주가상승 소비심리개선 등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답변이 36.5%를 차지했지만 '실물경기 회복지연, 부동산과열 등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가 37.1%,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는 응답도 26.4%나 됐다.

상의 관계자는 "경제 불확실성과 신용경색 우려로 기업들이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정책을 유지해 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금융권 자본확충 등을 통해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