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자산 건전성이 미국의 은행보다 양호하고, 부실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금보험공사가 8일 내놓은 `1분기 미국 은행 경영실적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 은행들의 무수익여신 비율(NPL)은 1분기에 3.76%(2천912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1%보다 급증해 1991년 2분기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는 부동산개발 관련 대출의 무수익여신 비율이 작년 1분기 4.71%에서 올해 1분기 10.92%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자산 규모 10억 달러 이상~100억 달러 미만인 중형 은행의 경우 작년 1분기 5.14%에서 올해 1분기 12.53%로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66.49%로 17년 만에 가장 낮았다.

국내 은행의 무수익여신 비율은 작년 1분기 0.72%에서 올해 1.27%로 악화했고 무수익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도 작년 동기의 206.6%보다 하락한 145.8%를 기록했으나 미 은행들보다는 양호했다.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예금자를 보호하는 은행의 숫자는 8천246개로, 1분기 중 영업정지와 합병, 도산 등으로 59개가 감소했고 `문제 은행'은 53개가 늘어났다.

지난 4~5월 15개 은행이 추가로 영업정지 되는 등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반면 국내 은행은 예금보험공사가 정기적 위험 평가를 한 결과 전체 5등급 중 D등급(취약) 이하로 분류되거나 앞으로 1년 이내 부실화할 것으로 우려되는 곳은 없었다.

예보는 "미국의 경우 개인파산 신청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신용카드 채권 상각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가계부채 관련 부실이 당분간 경기 회복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중형 은행도 부동산 개발 관련 대출의 자산건전성이 취약하고, 이로 인해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어 앞으로 추가적인 부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내 은행은 미 은행보다 자산 건전성이 양호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경제여건이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 은행 부실화에 대한 우려는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