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사업의 마스터플랜이 확정돼 공개됐지만 대운하 건설을 위한 사전 단계로 보는 시각은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4대강에 설치될 보(洑)가 4개에서 16개로 늘어나고 높이도 애초 예상보다 훨씬 높게 설계됨에 따라 대운하 반대론자들은 감시의 눈을 거두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의식한 듯 정부는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면서 배포한 질의응답자료를 통해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대운하와 비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방어벽을 쳤다.

정부는 우선 갑문을 설치할 계획이 없다면서 대운하와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16개의 보가 설치되지만, 이는 물을 가두는 역할만 할 뿐이고, 갑문이 없기 때문에 배가 다니는 운하가 될 수는 없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대운하 프로젝트에는 용강, 잠실, 팔당, 여주, 강천, 충주조정지, 구미갑문 등 여러 개의 갑문 건설 계획이 포함돼 있었다.

정부 관계자는 보의 높이와 관련해 대운하를 위해서는 최소 20m가 돼야 하지만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상으로는 4.0-13.2m로 돼 있다며 이 상태로는 배가 다니기 어렵다고 말했다.

결국 보를 설치하는 것은 배가 다닐 수 있는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에서가 아니라 수량 확보와 수변 경관 조성 등을 위해서라는 주장이다.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터미널 조성 계획이 없는 것도 대운하 프로젝트와는 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는 게 정부의 해명이다.

아울러 운하는 하천 중 물이 흐르는 얕은 부분인 저수로를 직선화하고 폭도 전 구간이 200-300m로 일정해야 하지만, 4대강 살리기 사업에선 저수로가 자연 하천 형상을 유지하는데다 폭이 일정하지 않아 두 사업 간에는 차이가 난다고 정부는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애초 계획보다 늘어난 예산 3조원의 대부분을 보 설치와 하천 준설 등에 투입하기로 한 점은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정부의 주장대로 갑문, 터미널 등이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 시설을 추가하고 수심 확보를 위해 준설을 더 하면 비교적 쉽게 운하로 변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