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은행권 정규직의 급여가 삭감되면서 비정규직과의 연봉 차이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많게는 1천만원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은 복지 혜택에서도 비정규직을 차별하고 있어 개선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노동계 등에서는 임금 격차 뿐 아니라 신분의 불안정성 해소와 노동조합 가입 등 여건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초임 최대 1천800만 원 차이

4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정규직 대졸 초임 연봉은 작년 3천400만원이었지만 올해들어 2천700만 원으로 20% 삭감되면서 과거 비정규직이었던 창구텔러 1년차의 연봉 2천500만원과 차이가 종전 9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좁혀졌다.

우리은행은 2007년 3월 비정규직을 폐지해 5월 말 현재 1만4천903명 모두 정규직원이지만 급여에서는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른 은행들은 차이가 좁혀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500만원 이상 차이가 났다.

하나은행의 정규직원 초임은 2천840만원이지만 비정규직원 초임은 1천690만 원으로 1천100만원 이상 차이가 났다.

신한은행은 정규직원 초임이 군필자 4천200만원, 미필자3천400만 원이었지만 전담텔러의 초임은 2천400만원 수준이며, 대졸 초임이 3천700만원인 국민은행 창구텔러의 연봉은 2천300~2천400만 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은 정규직원 2천810만원, 비정규직원 2천70만원으로 760만원가량 차이가 났다.

기업은행은 대졸 정규직원 초임이 2천994만원이며 비정규직인 창구텔러 1년차가 2천418만원으로 570여만 원 차이를 보였다.

외국계인 SC제일은행과 HSBC, 씨티은행 등은 정규직원 초임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복지 혜택도 차별

학자금과 임차보증금, 의료비 등 복지 혜택에서도 비정규직원에 대한 차별은 여전하다.

비정규직원 중에서 기한을 정하지 않은 무기계약자에 대한 복지를 정규직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주고 있고 올해 일부 은행이 비정규직원에 대한 학자금 지원을 시작했지만 아직은 제한적인 수준이다.

신한은행은 무주택 직원에게 조건에 따라 7천만~1억원 한도 내에서 임차보증금을 2년간 지원하는 대여주택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유치원 3년간 월 10만원 이내, 중.고.대학교 등록금 100% 이내에서 학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비정규직원에게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외환은행은 유치원 자녀를 둔 정규직원에게 월 15만원 이내에서 3년간 학자금을 지급하고 고등학생과 대학생 자녀를 둔 정규직원에게 등록금의 100%를 지급하지만, 비정규직원에게는 유치원 자녀 학자금만을 제공하고 있다.

집이 없는 직원에게 8년간 지역별로 7천만~1억 2천만원까지 지원하는 주택대여도 비정규직원은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HSBC는 유치원 연 50만원, 중, 고등학교 등록금 100%를 학자금으로 정규직원에게 제공하지만, 비정규직원에게는 제공하지 않는다.

직원들이 대출받은 금액에 대한 이자를 지원하는 주택자금지원도 정규직원에게만 해당되며 의료비는 정규직원과 1년 이상 계약한 계약직원에게만 제공하고 있다.

SC제일은행도 자녀학자금과 주택자금 지원 대상에서 비정규직원을 제외했다.

하나은행은 학자금과 경조사비, 의료비는 정규직원과 비정규직원 모두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주택지원 자금은 정규직원에게만 혜택을 부여했다.

기업은행은 경조사비나 출산장려비, 교육비, 의료비 등 복지혜택에 정규직원과 비정규직원 간 차이를 두지 않고 있으며 국민은행도 학자금과 주택자금, 경조사비를 차별하지 않고 있다.

한편 보험업계는 비정규직이 없었으며 대형 보험사의 대졸 초임이 3천만~3천500만원 수준이었다.

◇ 금융권, 비정규직 비중 낮춰야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금융권의 비정규직 종사들의 복지수준은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나 여전히 제한이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은행을 제외한 대다수 은행의 무기 계약직 직원들은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금융산업노조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금융권에서 무기 계약직(정규직화) 종사자들이 늘어나는 점은 바람직하다"며 "일부 은행들은 일부 비정규직 종사자들에게도 학자금 지원을 시작했으나 아직은 제한적인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은 "금융권의 비정규직에 대한 상황은 다른 업종에 비해 나은 편"이라며 "적극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보다 많은 비정규직자들을 무기계약자로 전환하고 정규직 간 임격 격차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금융권의 비정규직 종사자 비중이 높다는 점은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융기관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규직 직원 비중을 조속히 줄여나가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노 부소장은 "금융계의 비정규직 비중이 전체의 30% 이상으로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편"이라며 "단계적으로 많은 비정규직 종사자들을 이른 시일 내에 무기 계약자로 전환시키고, 더 나아가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는 데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harris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