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먹을거리 위기와 로컬 푸드' 출간

냉동 꽃게 속 납덩이, 멜라민이 든 분유,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된 장어, 광우병…
잊을 만하면 등장해 온 사회를 뒤집어놓는 먹을거리 파동. '슬로푸드 전도사'로 이름난 김종덕 경남대 교수는 신작 '먹을거리 위기와 로컬 푸드'(이후 펴냄)에서 먹을거리 위기의 배후에 글로벌 푸드 시스템, 즉 세계 식량 체계가 있다고 단언한다.

세계 식량 체계에서는 이윤을 위해서 영농을 하다 보니 단작 재배와 밀식 사육이 주를 이루고 생산을 석유 에너지에 의존하다 보니 세계 경제가 요동을 칠 때마다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이런 취약한 식량 생산 방식은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한다.

안전성보다 비용 절감이 우선시되므로 방부제, 살충제, 항생제 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유통 과정에 수출입업자들의 불순한 의도가 개입될 수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세계 체계에 의존하지 않고 지역 수준에서 생산과 소비를 하는 것이다.

소비자는 안전한 밥을 먹을 수 있고, 동시에 농촌을 살릴 수 있다.

저자는 해외와 지방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지역 식량 체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본다.

도시민이 잘 아는 생산자에게 선불로 값을 치르고 나중에 농산물을 받는 공동체 지원 농업, 농장과 학교를 이어 청소년에게 좋은 음식을 먹이는 농장-학교 연결 프로그램 등이 해외를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

또, 미국 미주리주 콜롬비아의 농민 시장에서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사고팔 수 있는지 세세한 규정을 만들어놓고 품질을 관리한다.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을 타진한 대구ㆍ경북 농민장터는 안타깝게도 2007∼2008년 규모가 축소됐으나 올해는 다시 대규모로 열릴 예정이다.

지역 식량 체계를 세우기 위해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소비자의 능동적인 자세가 꼽힌다.

저자는 세계 식량 체계에서 생산자와 멀리 떨어져 자신이 어떻게 생산된 음식을 먹는지 알지 못하는 지금의 소비자를 '음식 문맹자'로 부르면서 생산자와 이해관계를 함께하는 공동 생산자인 '음식 시민'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가와 자치단체, 시민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도시와 농촌의 교류는 일회성의 일방적 교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상호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중간에 다리를 놓아야 한다.

이렇게 시민 농업을 살리려면 국가가 농업을 경제 정책이 아니라 사회 정책으로 다뤄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351쪽. 1만7천원.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cheror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