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모터스(GM)의 파산보호 신청이 거의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

파산보호를 통해 강력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이 이뤄지면 세계 자동차시장을 주름잡던 101년 역사의 GM은 덩치가 많이 줄어든 새로운 회사로 거듭날 전망이다.

또 정부가 당분간 GM의 지분 대부분을 보유해 사실상 국영회사로 운영된다.

GM은 28일(현지시간) 채권단에 채무조정을 위한 출자전환과 관련한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채권단 일부가 이를 수용키로 했다.

정부가 제시한 자구책 시한인 6월1일을 앞두고 이뤄진 수정안 제안은 GM의 파산보호 신청이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파산보호에 들어가면 법원에서 채권단 등의 반대로 파산보호 절차가 지연되지 않도록 미리 채권단과 구조조정에 관한 내용을 최대한 합의해 놓고 가려는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GM이 6월1일 파산보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으며, 다른 미 언론들도 늦어도 6월1일까지는 파산보호 신청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산보호를 거쳐 새로 출범할 새로운 GM은 정부가 72.5%,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퇴직자 건강보험기금(VEBA)이 17.5%, 채권단이 10%의 지분을 갖게 된다.

정부가 대주주가 되는 셈이다.

GM은 당초 270억달러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채권단에 채무를 탕감하는 대신 10%의 지분을 주는 제안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날 15%까지 주식매입권을 주는 새 제안을 내놓았다.

미 정부는 GM의 파산보호 절차가 60~90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파산보호를 신청한 크라이슬러의 파산보호 기간을 미 정부가 30~60일 정도로 예상했던 것과 비교하면 긴 것으로, 이는 크라이슬러에 비해 GM의 덩치가 크고 채권자들의 구성도 복잡한 데 따른 것이다.

크라이슬러의 경우 정부와 이탈리아 자동차업체 피아트, 노조 등이 주요 주주가 되는 새 법인에 주요 자산을 매각하는 구조조정 계획의 승인 여부가 조만간 결론날 것으로 보여 법원의 승인이 이뤄지면 크라이슬러는 조만간 파산보호에서 졸업하게 돼 GM과 운명이 엇갈리게 된다.

미 정부는 크라이슬러와 마찬가지로 GM도 신속한 파산보호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채권단을 압박하고 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새 출자전환 제안에 채권단의 찬성률이 낮으면 파산보호 절차를 통해 되돌려 받는 것이 아주 적거나 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파산보호를 통해 채권을 어느 정도라도 건지려면 제안에 합의하라는 요구인 셈이다.

파산보호를 통해 새로 태어나는 법인은 계획대로라면 정부에 80억달러, 노조에 25억달러, 기타 65억달러 등 총 170억달러의 부채를 안고 출범하게 된다.

이는 현재의 부채보다 60%가량 줄어든 규모다.

미 정부는 기존에 GM에 투입한 194억달러를 포함해 약 500억달러의 자금을 파산보호 기간에 GM에 제공할 계획이다.

캐나다 정부도 약 90억달러를 추가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 정부는 GM이 파산보호를 통해 수익성 있고 튼튼한 회사로 거듭날 것을 기대하고 있고, 최대한 빨리 GM 지분을 팔아 납세자의 돈을 거둬들인다는 구상이다.

GM의 밥 러츠 전 부회장은 이날 신속하게 파산보호 절차를 종료할 계획임을 설명하고 "미국 정부는 돈을 돌려받고 싶어하고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이를 상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GM이 정부나 회사의 기대만큼 빠르게 회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수익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차 판매가 잘 이뤄져야 하지만 경기침체 속에 미국의 자동차 판매는 27년 만에 최저로 떨어진 상황이다.

또 소비자들이 파산했던 회사의 자동차를 기꺼이 구입할지도 의문이다.

또한 GM의 파산보호를 통한 구조조정은 공장폐쇄, 감원, 딜러망 감축 등에 따른 실직자 양산과 부품업체의 몰락 등을 가져와 경제 전반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GM은 작년에 6만2천명이던 공장 근로자 수를 내년 말까지 4만명으로 줄일 계획이고, 6천246개인 딜러망 중 2천600개를 내년까지 줄일 예정이다.

(뉴욕연합뉴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