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개별기업.업종별 전방위 추진

정부와 채권 금융기관이 다음 달부터 그룹.개별기업.업종별로 대기업 구조조정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주채권은행은 5월 말까지 45개 주채무계열 중 유동성 악화가 우려되는 그룹과 재무개선약정을 체결해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요구할 계획이다.

또 상반기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 원 이상인 개별기업들을 상대로 정밀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부실징후가 있는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키로 했다.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건설.조선.해운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은 6~7월 정도에 완료하고 추가로 구조조정이 필요한 업종은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선정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11개 대기업 그룹과 MOU 체결

3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차입규모가 큰 45개 주채무계열 중 14개 그룹이 '불합격' 판정을 받음에 따라 채권은행은 이들중 부실 정도가 심한 11개 그룹과 재무개선약정(MOU)을 체결하기로 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합격 판정을 받은 그룹이라도 경영악화 가능성, 시장 평판 등을 종합 고려해 시장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약정을 체결토록 하겠다"며 "다만 불합격 계열도 영업활동의 특수성 등을 감안해 약정체결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차입과 인수합병 등을 통해 과도하게 외형을 확대해 유동성 악화가 우려되는 계열에 대해서는 계열사 매각 등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재무개선 약정을 맺게 될 11개 그룹은 계열사나 보유 자산 매각을 통한 군살빼기와 유상증자 등 자구노력을 추진해야 한다.

채권단은 약정내용을 이행하지 않는 등 구조조정 실적이 미흡한 그룹에는 이행기간을 추가로 설정하고 여신 회수와 같은 금융 제재와 경영진 퇴진 요구 등도 요구할 수 있다.

금감원은 이들 그룹이 재무개선약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채권은행장에게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개별 대기업 구조조정도 본격화

금융당국은 올해 6월 말까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 원 이상인 1천422개 대기업에 대한 정기 신용위험평가도 마무리하기로 했다.

김 원장은 "신용공여액 500억 원 이상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매년 채권단 자율로 이루어졌는데 올해는 경제상황을 감안해 추진상황을 상시 점검하고 엄격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채권은행은 최근 영업실적과 현금흐름 등을 감안한 기본평가를 통해 부실 우려가 있는 업체를 우선 선정한다.

이달 들어 시작된 기본평가가 대부분 마무리된 가운데 평가대상 업체 중 400여곳이 불합격 판정을 받아 과거에 비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예고하고 있다.

채권은행은 불합격 판정을 받은 업체를 대상으로 세부평가를 실시해 부실징후기업으로 최종 평가 받은 기업에 대해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채권은행 협약에 따라 신용공여액이 500억 원 미만이나 주채권은행 여신이 50억 원 이상인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도 병행 추진키로 했다.

◇ 건설.조선.해운 구조조정 신속 마무리
올해 들어 본격 추진되고 있는 건설.조선.해운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은 신속히 마무리한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방침이다.

금감원은 1, 2차 건설.조선 신용위험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경영정상화계획을 조기 확정하기로 했다.

1차 평가결과로 워크아웃이 추진되는 11개 업체 중 9개사가 채권은행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상태다.

금감원은 2차 평가결과 구조조정 대상이 된 건설.조선사의 워크아웃 절차는 6월 말까지, 1차 신용위험평가시 A, B등급을 받은 건설.조선사 중 추가 부실이 우려되는 업체를 대상으로 한 재평가는 5월 말까지 각각 끝내기로 했다.

신용공여액 500억 원 이상인 38개 중대형 해운업체 중 최근 신용위험평가 결과 C등급(3개사), D등급(4개사)을 받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및 지원방안의 이행은 7월 말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나머지 140여 개 소규모 해운사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는 6월 말에 마무리된다.

업종별 구조조정 대상은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선정된다.

구조조정 대상 업종에 대해서는 부실 정리와 함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 및 세제지원이 병행 추진된다.

김 원장은 "지금은 건설.조선.해운 말고 별도로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업종은 없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ho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