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활한 노사 협상을 위해서는 성과급 중심의 임금 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30일 `2009년 일본 춘투 합의의 성공요인'이라는 보고서에서 "일본 경제가 호황이던 2000년대 초반 노사협의로 임금체계를 성과급 중심으로 재편했기 때문에 현재의 경제위기 속에서도 큰 폭의 양보교섭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일본의 임금교섭 관행으로 정착된 춘투(春鬪)는 노조를 대표하는 렌고(連合)가 교섭지침을 내리면, 이를 토대로 개별 노사가 사측에 임금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노조가 경영 여건을 고려해 합리적인 요구를 하기 때문에 타결안과 차이가 작고 쟁의로 이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렌고는 올해 기본급 인상을 요구했으나 재계를 대표하는 게이단렌(經團連)이 기본급을 동결하겠다는 입장을 보여 견해차가 컸다.

결국 노조가 임금인상을 자제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했고 사측은 추가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큰 충돌없이 합의가 이뤄졌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연구소는 "일본 노조가 기본급 동결을 비교적 쉽게 수용한 것은 생산성 향상에 임금이 연동되는 성과급 중심의 보상시스템이 정착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노사간 사전 조율을 중시하는 문화도 원활한 협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했다.

연구소는 "우리나라는 실무교섭을 거의 거치지 않기 때문에 본 협상이 길어지고 합의를 이끌어내기 어렵지만, 일본은 비공식적인 실무자 간 의견조율이 활발해 단체 교섭의 약 50%가 30일 이내 타결된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