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면 고부가가치의 국산 하이브리드 자전거가 등장할 전망이다.

20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와 자전거 업계는 `녹색성장산업'의 하나로 국내 자전거산업을 되살리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안에 자전거 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제품이 나오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고급 MTB나 모터 기능이 달린 하이브리드 자전거, IT기술을 접목해 레저용으로 접합한 내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가진 자전거, 독일 벤츠사의 자전거처럼 자동차 등 고급 브랜드와 연계된 자전거 등이 지원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맞물리면서 국내 생산기반이 무너진 자전거 산업을 다시 일으킬 주역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이명박 대통령도 이날 제13차 정례 라디오연설을 통해 국내 자전거 생산이 단절된 데 대해 아쉬움을 나타낸 뒤 "녹색기술과 결부된 미래형 핵심기술을 개발해 고부가 가치 하이브리드 자전거를 생산, 우리도 쓰고 수출도 하면 얼마나 좋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인도와 자전거길 구분 ▲자전거 보험 ▲지하철 자전거 소지자 전용칸 설치 등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대책을 소개하며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자전거 이용을 늘리는 방향은 세계적 추세이자 우리가 가야만 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현황을 보면 연간 240만대 가량 되는 자전거시장 가운데 대부분이 국내업체의 해외 현지생산이거나 해외 고급 브랜드 등 수입제품이다.

순수 국내 제작 자전거는 연간 2만여 대에 불과하며, 전문 제조업체와 부품업체 등 관련업체도 20∼30여 개에 그치고 있다는 게 지경부의 설명이다.

자전거 국내 생산기반이 무너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인건비 상승 등으로 저부가가치 제품이 판매량의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자전거 시장의 구조로는 이익을 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저가품은 중국산에 비하면 경쟁력이 떨어지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은 승산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손해보험업계는 5월 말이나 6월 초부터 자전거를 몰다 사고를 내거나 당했을 때 상해나 사망 등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개인용 자전거보험을 판매할 예정이며, 지경부 기술표준원은 최근 전기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모터출력 등 안전기준 제정안을 마련해 입안예고했다.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anfou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