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상승률 OECD 30개국중 4위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선진 7개국(G7)보다 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들은 물가 상승률이 0%에 근접하면서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가운데 한국만 유독 고물가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기획재정부, 통계청에 따르면 OECD가 표준화한 30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시점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3.7%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OECD 30개국의 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고공비행을 하던 지난해 7월 4.9%를 기록한 이후 8월 4.7%, 9월 4.5%, 10월 3.7%, 11월 2.2%, 12월 1.5% 등으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5.9%에서 8월 5.6%, 9월 5.1%, 10월 4.8%, 11월 4.5%, 12월 4.1%, 올해 1월 3.7%로 둔화하는데 그쳤다.

특히 한국의 1월 물가 상승률은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 선진 7개국(G7) 0.5%의 7배를 웃돌았다.

작년 7월과 올해 1월 선진 7개국의 물가 상승률을 비교하면 미국은 5.6%에서 0.0%로, 영국은 4.4%에서 3.0%, 일본은 2.3%에서 0.0%, 프랑스는 3.6%에서 0.7%, 독일은 3.3%에서 0.9%로 내려갔다.

또 한국의 1월 물가 상승률은 OECD 30개 회원국 중 호주 슬로바키아 등과 함께 4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은 아이슬란드의 물가 상승률은 18.6%로 1위를 차지했다.

IMF와 구제금융 협상을 진행 중인 터키는 9.5%로 2위, 대량 실직과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멕시코는 6.3%로 3위였다.

한국의 경우 2월 물가 상승률이 4.1%로 상승 폭이 커졌고 3월에도 역시 고환율 여파로 추가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분기에는 국제 석유제품 가격이 강세인 데다 환율 요인이 있어 물가가 높은 수준이었지만 2분기에는 점차 안정 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며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 요인이 국내 제품 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spee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