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월 현재 국내 외채의 만기연장 비율은 91% 이상으로 1997년 말과 같은 환란이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위원장은 6일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에 '한국에 대한 진실(The truth about Korea)'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그동안 외신을 통해 제기된 한국의 금융위기 의혹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기고문에서 "일부 논객들은 한국이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경험했던 것과 유사한 또 한차례의 중대 금융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며 기록을 확실하게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외채 총액이 1940억달러인 것은 사실이나 그중 390억달러는 외환 헤지와 발주된 선박이 인도될 때 정산될 선수금과 같이 갚을 의무가 없는 외채"라며 "2월 현재 외환보유고 2015억달러의 77%에 해당할 뿐이며, 2월 현재 외채 만기연장 비율은 91%를 넘고 있다"고 외신에서 그간 제기한 한국의 외채상환 문제에 대해 반박했다.

이 부위원장은 또 "2008년말 은행권 외채 1717억달러 중 외국계은행 지점들의 채무가 723억 달러이고 이는 국내은행의 지불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실제 대외채무는 994억달러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국이 10년 전 구제금융 당시와 다른 점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 부위원장은 "한국 기업들이 체질변화를 통해 건전하고 투명한 상태에 있으며 기업 부채비율이 2008년 3분기에 104%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지난 1996년 한국의 경상수지적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2%에 달했으나 2009년 2월 현재 33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며 "이같은 무역흑자는 자본유입의 흐름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세번째로 "은행의 자본상태가 10년 전에 비해 훨씬 개선됐으며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도 당시 7%에서 12.2%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90~100%에 있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비율에 비해 한국의 비율은 훨씬 낮은 40~60%에 불과해 건전한 가계대출 시장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